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6

[Config] iBGP & eBGP 설정하기 Case 1. eBGP (물리인터페이스)eBGP는 직접 연결된 장비와 peer를 설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서로 연결된 물리 인터페이스로 peer를 구성한다.  AS간 라우팅은 아직 하지 않고, AS2는 OSPF로 구성한다. R1과 R2간 Serial 주소를 사용해 eBGP peer를 설정하고, Loopback을 광고한다. 주의!   Classful 주소는 mask를 생략하고 그 외의 서브넷은 반드시 지정해주어야 한다.# R1router bgp 1 neighbor 1.1.12.2 remote-as 2 network 1.1.1.0 mask 255.255.255.0 # R2router bgp 2 neighbor 1.1.12.1 remote-as 1 .. 2025. 4. 8.
BGP 개요 BGP 개요BGP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각각의 대규모 네트워크 간에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즉, 간단히 설명해서 서로 다른 AS간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1989년 BGP 버전1이 나왔고, 1995년 CIDR 및 서브넷팅 도입을 적용한 버전4가 나왔다. 현재 그냥 BGP라고 하면 버전4를 의미한다.   흔히 알고 있는 OSPF, EIGRP 등의 프로토콜은 Multicast 통신을 하지만 BGP는 Unicast 통신을 하기 때문에 IGP들과는 달리 직접 연결된 장비가 아니더라도 원하는 장비와 이웃관계를 맺을 수 있다. TCP를 사용하기 때문에 7계층 프로토콜 이라고도 한다. 또한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이 IGP와 다르다. IGP는 각 프로토콜이 사용하는 매트릭방식에.. 2025. 4. 8.
[AWS 기초 1] AWS 시작하기 Account 생성하기AWS를 시작하기 위해 가장 먼저 생성해야 하는 것이 Account 인데, AWS Account란 VM, Storage와 같은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하는 단위이자 보안 경계를 만들어 다른 리소스들과 분리하는 AWS 서비스를 말한다.  웹 브라우저에 signin.aws.amazone.com 주소를 입력해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이 [AWS 계정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르고, Account를 생성하는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넣고 인증한 후에 여러가지 인적사항 등을 기입하여 Account 생성을 완료한다.  최초로 가입할 때 인증된 사용자를 루트(root) 사용자라고 하며 이 사용자는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고 이를 제한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Account를 만들때만 사용하고 특별.. 2025. 4. 2.
Google Cloud 공인강사 취득하기 2023년에 취득했으니 시간은 좀 흘렀지만 몇 년동안 변경되지 않았던 절차이니 아직도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어 GCP 공인강사 취득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절차나 팁 등을 간단히 공유해볼까 한다.   첫째, 신청 방법과 절차 우선 구글클라우드 Training Partner로 인증된 곳에 소속이 되어있어야 한다. 우리 회사는 Training Partner였기 때문에 Training 부서를 통해 공인강사 취득 신청을 할 수 있었다. 신청을 할 때 필요한 것은 PCA 자격증, 영문이력서가 필요하다. 커버레터나 세부 경력기술서는 필요없고 간단한 이력만 적혀있으면 되는데 강의 경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걸로 알고 있다. 그 외에 테스트 볼 트랙의 종류, 이메일 주소, 회사명, 거주하는 나라 등 신상내역을 적어 제출하면.. 2025. 3. 27.
[GCP 1] Google Network 이해하기 Premium Tier와 Standard Tier구글은 자체적으로 전 세계에 걸쳐 구축한 광 통신망을 활용하여 매일 발생하는 트래픽의 약 40% 정도를 처리한다. 이 빠르고 안전한 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을 Premium Tier라고 하며, 외부 인터넷(다른 ISP 망)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Standard Tier라고 한다.  Premium Tier는 구글이 전세계에 걸쳐 100개가 넘는 POPs(points of presence)를 통해 구축한 광 통신망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전달 한다. 구글의 질 좋은 네트워크 망은 낮은 지연시간,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며, 인스턴스 구성시 Premium Tier가 기본적으로 선택되어 있는 값이다.  Standard Tier는 보다 저렴한 가격을 제공하기 때문에 비용을 줄.. 2025. 3. 27.
4계층(Transport) 세부설명 Layer 4. Transport Layer Transport 계층은 서비스를 구분하고 데이터 통신방식을 결정하는 계층이다. 4계층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위계층과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하위계층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위계층의 서비스들을 구분하여 정확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통신방식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통신될 수 있도록 의사결정을 해준다. 1. 서비스 구분 번호 Port number : 포트번호는 서비스 구분 번호라고도 불리는 Transport 계층의 주소이다. Application 계층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들을 구분하기 위해 숫자로 식별값을 부여했는데 이를 Port number라고 한다. 총 0 ~ 65535번.. 2019.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