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TCP-IP12 4계층(Transport) 세부설명 Layer 4. Transport Layer Transport 계층은 서비스를 구분하고 데이터 통신방식을 결정하는 계층이다. 4계층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위계층과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하위계층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위계층의 서비스들을 구분하여 정확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통신방식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통신될 수 있도록 의사결정을 해준다. 1. 서비스 구분 번호 Port number : 포트번호는 서비스 구분 번호라고도 불리는 Transport 계층의 주소이다. Application 계층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들을 구분하기 위해 숫자로 식별값을 부여했는데 이를 Port number라고 한다. 총 0 ~ 65535번.. 2019. 8. 20.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Internet Control Messege Protocol) ICMP란 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요 프로토콜 중 하나로서, 통신의 연결성을 확인하고 에러 메시지를 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4계층의 TCP/UDP와는 다르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신뢰성이 없는 IP프로토콜을 대신하여 연결성을 확인하는데 사용하고, 문제가 생긴 구간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에러 메시지를 체크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패킷이 전달되는 경로를 추적하여 라우팅 경로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ICMP 구조 Type ICMP type (Control messages 참조) Code ICMP subtype을 나타냄 (Control messages 참조) Che.. 2014. 12. 8. ARP (주소결정프로토콜)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를 그대로 풀어서 해석하면 주소결정프로토콜 이라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은 사용자가 어떤 값을 생성하여 전달하거나 어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동작을 시킬때 발생된다. 즉, 통신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값들을 사용자가 결정하여 입력을 시켜준다는 뜻이다. 4계층에서 필요한 서비스 구분번호는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면서 입력이 되고, 3계층에서 사용하는 IP주소까지는 사용자가 통신하기 위해서 디바이스에 입력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Encapsulation이 가능하다. 하지만 2계층에서 필요한 목적지 주소는 따로 입력이 되지 않아서 주소를 디바이스 스스로 결정해주어야 한다. 이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ARP이다. 정리하면,ARP란 논리적인 IP주소.. 2014. 8. 7. Wildcard-Mask (와일드카드 마스크) Wildcard-Mask 란 Wildcard-mask는 특정 IP주소나 네트워크를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필터값이다. Subnet-mask와 마찬가지로 0과 1로 필터할 비트를 구분짓는데 사용하고, 0과 1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위의 말을 다시 쓰면, Wildcard-Mask가 0으로 표시된 부분의 bit는 꼭 저 숫자여야만 한다 라는 의미이다. Wildcard-Mask가 1로 표시된 부분은 0이 오던 1이 오던 상관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1.1.1.0/24 이라는 네트워크 주소를 와일드카드 마스크로 범위를 지정하면 IP Address => 00000001.00000001.00000001.00000000 Wildcard.M => 00000000.00000000.00000000.11111.. 2014. 7. 26. 서브넷팅 (Subnetting) IPv4의 Subnetting 서브넷팅이 필요한 이유 1. IP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낭비를 막기 위해서 2.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성 강화를 위해서 만약 하나의 부서에서 필요한 IP주소의 개수는 총 6개인데 C class 주소대역대 하나를 할당해준다면... 할당된 IP의 총 개수는 256개로 낭비되는 IP가 많아진다. 따라서 남는 IP를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FLSM (Fixed Length Subnet Mask) 고정된 크기의 Subnet-Mask를 사용하는 방식. 즉, 동일한 크기의 Subnet으로 나누는 방식을 말한다. Subnetting 하는 방법 서브넷을 나누기 전에 각각의 네트워크에서 필요한 호스트의 수 또는 필요한 네트워크 수를 파악하여 .. 2014. 7. 22. Subnet-Mask (서브넷 마스크) Subnet-Mask Subnet-mask는 IP 주소의 Net-id와 Host-id 부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값이다. Class를 구분하여 IP를 사용할 때에는 첫번째 옥텟의 숫자만 보고 네트워크 부분을 비교하여 구분할 수 있었지만, 서브네팅을 하여 네트워크가 나눠지면 더 이상 Class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네트워크 구분이 어려워진다. 각 주소 별로 네트워크가 어디까지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Subnet-mask 인 것이다. Subnet-mask의 구성 218.128.32.0 이라는 주소만 봤을때 Class 구분을 하면 C class로 3번째 옥텟까지가 네트워크 범위겠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어디까지를 네트워크로 보고 구분해야 되는지 알 수가 없다. Net-id는 1,.. 2014. 7. 2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