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73 [Config] iBGP & eBGP 설정하기 Case 1. eBGP (물리인터페이스)eBGP는 직접 연결된 장비와 peer를 설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서로 연결된 물리 인터페이스로 peer를 구성한다. AS간 라우팅은 아직 하지 않고, AS2는 OSPF로 구성한다. R1과 R2간 Serial 주소를 사용해 eBGP peer를 설정하고, Loopback을 광고한다. 주의! Classful 주소는 mask를 생략하고 그 외의 서브넷은 반드시 지정해주어야 한다.# R1router bgp 1 neighbor 1.1.12.2 remote-as 2 network 1.1.1.0 mask 255.255.255.0 # R2router bgp 2 neighbor 1.1.12.1 remote-as 1 .. 2025. 4. 8. BGP 개요 BGP 개요BGP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각각의 대규모 네트워크 간에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즉, 간단히 설명해서 서로 다른 AS간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1989년 BGP 버전1이 나왔고, 1995년 CIDR 및 서브넷팅 도입을 적용한 버전4가 나왔다. 현재 그냥 BGP라고 하면 버전4를 의미한다. 흔히 알고 있는 OSPF, EIGRP 등의 프로토콜은 Multicast 통신을 하지만 BGP는 Unicast 통신을 하기 때문에 IGP들과는 달리 직접 연결된 장비가 아니더라도 원하는 장비와 이웃관계를 맺을 수 있다. TCP를 사용하기 때문에 7계층 프로토콜 이라고도 한다. 또한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이 IGP와 다르다. IGP는 각 프로토콜이 사용하는 매트릭방식에.. 2025. 4. 8. 4계층(Transport) 세부설명 Layer 4. Transport Layer Transport 계층은 서비스를 구분하고 데이터 통신방식을 결정하는 계층이다. 4계층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위계층과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하위계층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위계층의 서비스들을 구분하여 정확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통신방식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통신될 수 있도록 의사결정을 해준다. 1. 서비스 구분 번호 Port number : 포트번호는 서비스 구분 번호라고도 불리는 Transport 계층의 주소이다. Application 계층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들을 구분하기 위해 숫자로 식별값을 부여했는데 이를 Port number라고 한다. 총 0 ~ 65535번.. 2019. 8. 20. [Config] 프레임릴레이(Frame-relay) Frame-relay Interface 설정Sub Interface프레임 릴레이에서는 하나의 물리적인 interface를 가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Sub Interface라고 한다. Sub Interface는 물리적 Interface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논리적 interface로 프레임 릴레이 Sub Interface는 물리적인 Serial interface로 들어오는 각각의 PVC에 대하여 설정이 가능하다. 프레임 릴레이 Sub Interface는 Point-to-point 와 Multi point 가 있다. Router(config-if)# no ip addressSub Interface 설정하기 전에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가 있다면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R.. 2018. 8. 16. Frame-relay 프레임 릴레이는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되는 대표적인 WAN 프로토콜이다. 전용선에 비해 저렴하고 적은 복잡성과 간단한 구현 방법으로 망 구성 비용을 절감하게 도와둔다. 또한 전용선에 비해 광대역, 높은 신뢰성, 유연성을 제공한다. 프레임 릴레이 망에서는 가상 회선(Virtual Circuit)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물리적 회선을 하나의 회선만으로 대체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하는 가상회선을 PVC(Permanent Virtual Circuit)라고 한다. PVC는 논리적 경로로서 두 종단 사용자 간의 고유 경로를 정의한다. 용어정리 가상 회선 (Virtual Circuit) : 가상 회선은 2개의 종단 장비간 양방향 통신 경로를 제공하며, DLCI에 의해 식별된다. 가상회선은 SVC(Switch.. 2018. 8. 16. Switchport - Trunk Switchport의 동작모드 'Trunk' Trunk는 다수의 VLAN 트래픽이 하나의 스위치 포트로 통신될 수 있도록 공유된 링크를 말한다. 만약 Access로만 설정할 수 있다고 하면, 서로 다른 스위치에 설정된 동일한 VLAN의 통신을 위해서 스위치간 연결 시 VLAN 개수만큼 케이블을 별도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Trunk를 사용하면 스위치에 설정된 모든 VLAN의 프레임은 하나의 포트로만 전달될 수 있다. 위 그림에서 F0/1으로 각 VLAN 트래픽이 전달되고 있는데 여기에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SW2이 수신한 프레임이 정확히 어느 VLAN 트래픽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Access 설정은 포트에 직접 VLAN을 지정한 방식이기 때문에 프레임을 수신한 포트의 설정만으로 VL.. 2018. 6. 19.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