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relay Interface 설정

Sub Interface

프레임 릴레이에서는 하나의 물리적인 interface를 가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Sub Interface라고 한다. 

Sub Interface는 물리적 Interface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논리적 interface로 프레임 릴레이 Sub Interface는

 물리적인 Serial interface로 들어오는 각각의 PVC에 대하여 설정이 가능하다. 프레임 릴레이 Sub Interface는

 Point-to-point 와 Multi point 가 있다.

 

Router(config-if)# no ip address

Sub Interface 설정하기 전에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있다면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Router(config-if)# encapsulation frame-relay

인캡슐레이션도 프레임릴레이로 변경한다.

 

 

Point-to-Point

1개의 Point-to-point Sub Interface 다른 Router 하나의 물리적 interface 또는 Sub Interface 연결되며  

interface 단일 DLCI 가지게 된다 Sub Interface 독립된 보통의 Point-to-point interface처럼 동작하며

별도의 Subnet 가지기 때문에 Split-horizon 규칙에 제한되지 않는다

 

Router(config)# interface serial 0/0.102 point-to-point

포트번호  마침표를 이용해 Sub-interface 만들고 뒤에 point-to-point 입력한다.

Router(config-subif)# ip address 1.1.10.1 255.255.255.0

Router(config-subif)# bandwidth 64

서브인터페이스에 IP 대역폭을 지정한다.

Router(config-subif)# frame-relay interface-dlci 102

해당 인터페이스에 DLCI 설정하는데 번호는 프레임릴레이 서비스 제공자가 할당한다.

 

 

Multipoint

1개의 Multipoint Sub Interface 다른 Router 복수 개의 물리적 interface 또는 Sub Interface 연결할  사용

한다.  m,관련되는 모든 interface들은 동일한 subnet 놓이게 된다 Sub Interface NBMA 프레임 릴레이

interface 유사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Split-horizon 규칙에 제한된다.

 

Router(config)# interface serial 0/0.2 multipoint

포트번호  마침표를 이용해 Sub-interface 만들고 뒤에 multipoint 입력한다.

Router(config-subif)# ip address 1.1.10.1 255.255.255.0

Router(config-subif)# bandwidth 64

서브인터페이스에 IP 대역폭을 지정한다.

Router(config-subif)# frame-relay map ip 1.1.10.2 120 broadcast

Router(config-subif)# frame-relay map ip 1.1.10.3 130 broadcast

Router(config-subif)# frame-relay map ip 1.1.10.4 140 broadcast

원격 라우터와 통신할  사용할 DLCI Mapping 한다.

 

 

 

Frame-relay 설정 확인 하기

 

  • show interface

Interface 설정된 LMI type, LMI DLCI, 프레임릴레이 DTE/DCE type 등을 확인할  있다.

 

 

  • show frame-relay lmi

LMI 통계 정보들을 살펴   있다출력된 내용 중에 0 아닌 모든 Invalid'항목을 찾아서 전송사업자의 

Switch 사용자의 Router 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있다.

 

  

  • show frame-relay map

현재의 매핑 내용과 연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있다

 

  

  • debug frame-relay lmi

Router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가 LMI Packet 올바르게 송수신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검증 과정에서 프레임 릴레이 설정이 적절하게 동작되지 않으면 설정에 대한 트러블 슈팅이 필요한데 

  사용하는 것이다.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ame-relay  (0) 2018.08.16
경로 필터링 (Route Filtering)  (2) 2016.07.26
재분배 (Redistribution)  (0) 2016.07.01
OSPF LSA 정리  (2) 2015.10.02
[Config] NAT  (0) 2015.05.08

프레임 릴레이는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되는 대표적인 WAN 프로토콜이다.

전용선에 비해 저렴하고 적은 복잡성과 간단한 구현 방법으로 구성 비용을 절감하게 도와둔다

또한 전용선에 비해 광대역, 높은 신뢰성, 유연성을 제공한다.

 

프레임 릴레이 망에서는 가상 회선(Virtual Circuit)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물리적 회선을 하나의 회선만으로 

대체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하는 가상회선을 PVC(Permanent Virtual Circuit)라고 한다. PVC 논리

경로로서 종단 사용자 간의 고유 경로를 정의한다.

 

용어정리

가상 회선 (Virtual Circuit)

: 가상 회선은 2개의 종단 장비간 양방향 통신 경로를 제공하며, DLCI 의해 식별된다.

가상회선은 SVC(Switched Virtual Circuit)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나뉜다.

 

SVC (Switched Virtual Circuit)

: 요구에 의해 동적으로 설립되고 전송이 끝나면 해제되는 가상회선 이다.

필요에 의해서만 연결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한다.

SVC 통한 통신 세션은 호출 설정, 데이터 전송, 유휴 상태, 호출 종료 이렇게 4가지 동작 상태를 갖는다.

 

PVC (Permanent Virtual Circuit)

: 영구적으로 설정된 연결로서 지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한다.

PVC 항상 데이터 전송, 유휴 상태 하나의 상태에서 동작하며, 일반적으로 프레임 릴레이는 PVC사용

 

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 F/R 네트워크에 만들어진 가상 회선들을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물리적 주소이다.

 

Inverse ARP

: PVC 상에서 라우터 자신의 DLCI 상대 라우터의 IP주소를 자동으로 맵핑하는 작업을 하는 프로토콜.

 

LMI (Local Management Interface)

: 라우터와 F/R 스위치 사이에서 PVC 상태 정보를 주고 받을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라우터는 프레임릴레이 네트워크 내부에 PVC상태 정보를 스스로 인식할 없기 때문에 항상 인접한 

F/R 스위치와 PVC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문의하여 가상회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Frame-relay 네트워크 구성

 


프레임릴레이 사용자들은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공유하지만 논리적인 가상회선으로 구별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이더넷 스위치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노드들을 VLAN으로 나누는 작업과 같은 개념이다.

 

가상회선은 하나의 물리 인터페이스에 다수가 연결될 있으므로 별도의 물리적 회선과 시리얼 인터페이스 

추가 없이도 그림과 같은 여러 토폴로지를 구현할 있다.

가상회선 개념은 WAN에서 L2 VPN 지원할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상회선으로 연결된 L2 네트

워크과 L3 네트워크의 구조가 달라질 있다는 의미이다.

 

프레임릴레이는 Public Network 특성을 가지고 있고 공유망이라 할지라도 특정 노드들의 데이터 전송 신호가

다른 노드에 전달되지 않으며 노드들은 논리적인 가상회선을 통해 개별적인 통신 경로를 가지고 있으므로

NBMA라고도 한다.

 

 

 

 

DLCI IP Mapping 방식

 

 

Router가 프레임 릴레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려면 각 Router는 어느 로컬 DLCI가 원격 목적지의 

3계층 주소에 매핑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Cisco router는 IP, IPX, AppleTalk과 같은 모든 네트워크 계층 프로

토콜을 프레임 릴레이에서 지원하고 이 주소와 DLCI의 매핑은 정적 또는 동적으로 일어난다.

동적 주소 매핑은 Next hop address와 Local DLCI를 mapping시키는데 Inverse ARP를 사용하는 것이고, 정적

 주소 매핑은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방식이다.

 

 

Inverse ARP와 LMI를 사용하여 DLCI와 IP를 매핑하는 과정

 

 

  1.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에 Router 연결하는데 Router interface 프레임 릴레이를 지원하는 encapsulation 설정과 IP 주소가 설정 되어 있어야 합니다.

  2. 프레임 릴레이 설정이 적용된 interface 활성화 되면 Router 인접한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에게 PVC 상태 정보를 문의합니다.

  3.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가 Router에게서 status inquiry message 수신하면 PVC Local DLCI number 상태 정보를 router에게 알려 줍니다.

  4. Router들은 PVC Active 상태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자신의 Local DLCI number 상대 Router IP주소 정보를 매핑하기 위해 Inverse ARP 수행합니다. Router 자신의 IP 정보를 소개합니다.

  5. Inverse ARP 통해 상대 Router IP 주소를 알게 되면 프레임 릴레이 매핑 정보를 생성합니다.

  6. 이후 60초마다 Router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Active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Inverse ARP 수행합니다.

  7. LMI 신호를 주기적으로 보내서 PVC 상태를 확인합니다.

 

 

LMI - Frame-relay Signaling

기본적으로 LMI는 Router와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간의 연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유지 매커니

다.

주기적으로 장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Keepalive 역할을 합니다. 10초마다 종단 장치는 누락된 순차 응답 

또는 채널 상태 정보를 위해 망에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합니다. 이에 응답이 오지 않으면 연결이 끊어진 것으

로 간주합니다.

 

LMI 여러 타입이 있는데 서로 간에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Router 구성된 LMI 타입은 서비스 제공자에서 

사용한 타입과 동일해야 한다. Cisco router Cisco, Ansi, q933a 지원합니다. Cisco IOS 소프트웨어 버전 

11.2부터는 LMI 자동 감지 기능이 직접 연결된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가 지원하는 LMI 타입을 감지한다.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LMI 상태 메시지에 근거하여 Router 자동으로 자신의 인터페이스 LMI 타입을 

설정한다. LMI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show frame-relay lmi 입력한다.

 

LMI 기본적으로 PVC 상태 정보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알려준다.

- Active state    : PVC 상태가 정상적이므로 Router 사이에 정보 교환이 가능

- Inactive state  : Remote router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간에 문제가 있음

- Deleted state  : Local router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사이에 문제가 있음

 

 

 

정적인 방법으로 DLCI와 IP를 매핑하는 과정

 

 

라우터에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Router(config-if)# frame-relay map [protocol] [protocol-address] [dlci] {broadcast}

Option 설명

- protocol : 지원하는 프로토콜 (Apple-talk, IPX, IP 등이 있다)

- protocol-address : 목적지 라우터의 주소

- dlci : 원격지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로컬 DLCI

- broadcast (optional) : 가상회선에 Broadcast Multicast 허용하는 명령어. 옵션이 있어야 

Dynamic라우팅 가능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프레임릴레이(Frame-relay)  (0) 2018.08.16
경로 필터링 (Route Filtering)  (2) 2016.07.26
재분배 (Redistribution)  (0) 2016.07.01
OSPF LSA 정리  (2) 2015.10.02
[Config] NAT  (0) 2015.05.08

Filtering 이란?

 

라우팅 프로토콜은 메트릭, AD, 컨버전스 시간 서브넷 정보 전송 여부 등이 서로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재분배 후 적절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라우팅 루프, Flapping, Black-hole 등이 발생될 수 있고, 최적이 아닌 라우팅 경로가 선택될 수도 있다.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시키는 과정에서 필요하지 않은 경로 정보를 차단하거나, 재분배 시 일부 네트워크 경로의 옵션을 변경시키고 싶은 경우 Filtering을 사용한다.  

 

경로 필터링을 위해 Distribute-list Route-map 사용할 있으며, 필터링을 적용시킬 네트워크 주소 범위는 Access-list 또는 Prefix-list를 사용한다.  

  

  

 

 네트워크 범위의 지정을 위한 Access-listPrefix-list 

 

Access-list의 특징 

  • Standard ACL과 Extended ACL 두 가지의 종류로 나눠진다. 

  • 이름을 지정하는 방법에 따라 numbered와 named 두 가지의 설정 방법이 있다. 

  • 네트워크 범위를 와일드카드(wildcard) 마스크를 사용한다.  

  • 설정 중 Host 또는 Any라는 단어로 와일드카드 마스크를 생략할 수 있다.  

 

Prefix-list의 특징 

  • Standard 필터링만 설정할 수 있다. 

  • Named 방식으로만 이름을 지정한다. 

  • 네트워크 범위를 prefix-length로 지정한다.  

  • 특정 prefix-length 뿐만 아니라 ge, le를 사용해서 범위로도 지정할 수 있다. 

  • ACL에 비해 직관적인 범위 지정으로 장비의 성능이 향상된다.  

 

Access-list와 Prefix-list의 비교 

 

access-list 10 permit 192.168.1.0 0.0.0.255 

ip prefix-list comp-acl permit 192.168.1.0/24 

위와 같이 입력했을 때 결과는 아래 표와 같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미지

 

 

  

 

 

 특정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광고 필터링을 위한 Distribute-list 

 

특정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광고하는 주소의 필터링을 할 수 있으며, 필터링 할 네트워크의 설정은 ACL 또는 Prefix-list를 사용한다. 둘 다 named 설정이 가능하므로 ACL은 그냥 이름을 명시하고 Prefix-list는 prefix 라는 옵션을 적어 주고 이름을 명시한다.  

 

1. ACL로 네트워크 범위 설정 시 

ip access-list standard PER-10 
  permit 1.1.10.0 0.0.0.255  
router rip  
  distribute-list PER-10 out s1/0 

 

2. prefix-list로 네트워크 범위 설정 시 

ip prefix-list ONLY-10 permit 1.1.10.0/24 
router rip 
  distribute-list prefix ONLY-10 out s1/0 

  

 

 

  

 

 

 여러 옵션으로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 Route-map 

 

패킷의 통신을 허용/거부 하거나, 광고 정보 중 내용을 제거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필터링 기능 외에도 많은 설정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 Route-map이다. 전달되는 정보 중 일부분만 메트릭을 변경하거나, 출발지에 따라 전달될 Next-hop의 주소를 변경하는 등의 다양한 정책을 세울 수 있다.  

 

 

Route-map이 사용되는 경우 

    • 재분배 중에 경로 필터링 

    • PBR(정책기반라우팅) 설정

    • BGP 정책 설정 

 

 

설정 방법 

1. Route-map의 이름 및 실행 순서 정의 

  - Route-map의 이름이 같은 여러 정책들은 동일한 list로 인식 

  - Sequence number가 낮은 것부터 실행 

Ex)  

(config)# route-map SAME permit 10 
(config-route-map)# conditions 
(config-route-map)# exit 
(config)# route-map SAME permit 20 
(config-route-map)# conditions 
(config-route-map)# exit 

 

2. 필터링 할 주소의 정의 

  - 조건을 수행할 네트워크의 범위를 ACL 등으로 미리 지정 

Ex) 

(config)# access-list 10 permit 10.0.0.0 0.255.255.255 
(config-route-map)# match ip address 10 

 

3. 다양한 옵션 설정 

  - 원하는 옵션을 set 명령어를 사용하여 지정 

Ex) 

(config-route-map)# set metric 500         > 지정된 네트워크 주소들의 매트릭을 500으로 변경 
(config-route-map)# set next-hop 5.5.5.1  > 패킷 전달 방향을 원하는 next-hop으로 변경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프레임릴레이(Frame-relay)  (0) 2018.08.16
Frame-relay  (0) 2018.08.16
재분배 (Redistribution)  (0) 2016.07.01
OSPF LSA 정리  (2) 2015.10.02
[Config] NAT  (0) 2015.05.08

재분배란? 

 

서로 다른 AS간의 연결이나 다른 프로세스간의 경로 정보를 서로 전달받도록 설정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다른 프로세스로 경로 정보를 넘길 때에는 기존 경로 정책은 무시되고 단순히 네트워크 경로 정보만 전달하기 때문에 매트릭 등 여러 가지로 조정이 필요하다.  

 

 

재분배를 하는 방법은 각 라우팅 프로세스 설정 모드에서 redistribute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명령어와 함께 옵션을 사용하여 초기 매트릭이나 필터링 정책을 조정할 수 있다. 

 

초기 매트릭이란, 재분배 설정을 하는 프로토콜에서는 다른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던 매트릭 방식을 이해할 수 없으므로 관리자가 직접 경로에 대한 매트릭을 조정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초기 매트릭(Seed Metric)이라고 한다.  

 

 

 

<실습 예제>

재분배를 설정하기 전에 위 토폴로지대로 라우팅을 설정한다.  

여러 프로토콜의 정보를 모두 알고 있어야 재분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재분배 설정을 할 수 있는 장비는 R5 뿐이다. 따라서 라우팅 설정이 끝나면 R5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여 전체 네트워크 경로 정보가 잘 학습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참고로 Static Routing으로 재분배를 하는 방법은 없다. 학습이 필요한 Static 경로가 있다면, 원래 설정하는 방법 그대로 경로를 추가시키면 된다. 위 실습에서는 Default Route(0.0.0.0/0) 으로 설정한다. 

 

 

 

RIP 프로토콜로 다른 프로세스 정보를 재분배 

  • router rip 명령어로 설정 모드 진입 

  • redistribute 명령어로 재분배 설정 

  • 초기 매트릭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값으로 기본 설정된다. 

  • 초기 매트릭은 임의로 가장 적절한 값을 부여하면 된다. 

 

1) 초기 매트릭을 default-metric으로 설정해 두는 경우 

router rip 
  default-metric 5 
  redistribute eigrp 1 
  redistribute ospf 1 
  redistribute static 

 

2) 초기 매트릭을 각 재분배 명령어에 옵션으로 추가하는 경우 

router rip 
  redistribute eigrp 1 metric 3 
  redistribute ospf 1 metric 5 
  redistribute static metric 2 

 

 

 

EIGRP 프로토콜로 다른 프로세스 정보를 재분배 

  • router eigrp <asn> 명령어로 설정 모드 진입 

  • redistribute 명령어로 재분배 설정 

  • 초기 매트릭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값으로 기본 설정된다. 

  • 초기 매트릭은 K상수 5가지를 모두 입력하며, 단위는 아래와 같다. 

    • Bandwidth = kbit 단위 

    • Delay = 10 microsecond 단위 

    • Reliability와 Load, MTU는 써 있는 그대로 적어 준다.  

    • 적는 순서는 BW > DLY > Reli > Load > MTU 

     

1) 초기 매트릭을 default-metric으로 설정해 두는 경우 

router eigrp 1 
  default-metric 1544 2000 255 1 1500 
  redistribute rip 1 
  redistribute ospf 1 
  redistribute static 

 

2) 초기 매트릭을 각 재분배 명령어에 옵션으로 추가하는 경우 

router eigrp 1 
  redistribute rip 1 metric 1544 2000 255 1 1500 
  redistribute ospf 1 metric 1544 2000 255 1 1500 
  redistribute static metric 1544 2000 255 1 1500 

 

 

 

OSPF 프로토콜로 다른 프로세스 정보를 재분배 

  • router ospf <PID> 명령어로 설정 모드 진입 

  • redistribute 명령어로 재분배 설정 

  • 초기 매트릭을 설정하지 않으면 20이 기본으로 설정된다. 

  • 매트릭 타입은 1,2 두 가지가 있으며, 기본은 Type 2(고정 매트릭)이다.  

  • Classless하게 설정된 서브넷은 재분배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subnet이라는 옵션을 필수적으로 적어 주어야 한다.  

 

1) 초기 매트릭매트릭 타입을 따로 조정하지 않는 경우 

router ospf 1 
  redistribute eigrp 1 subnets 
  redistribute rip subnets 
  redistribute static subnets 

 

2) 초기 매트릭을 30으로 조정하고 매트릭 타입을 Type 1으로 설정하는 경우 

router ospf 1 
  redistribute eigrp 1 metric 30 metric-type 1 subnets 
  redistribute rip metric 30 metric-type 1 subnets 
  redistribute static metric 30 metric-type 1 subnets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ame-relay  (0) 2018.08.16
경로 필터링 (Route Filtering)  (2) 2016.07.26
OSPF LSA 정리  (2) 2015.10.02
[Config] NAT  (0) 2015.05.08
[Config] Access-List  (0) 2015.05.08

LSA Type

Type 알아야하는 내용

생성 Router

담고있는 내용

전달 범위

 


 


Type 1

생성 : 모든 라우터

내용 : 자신의 Link-State 정보

범위 : 해당 Area

 

Type 2

생성 : DR (DR 없는 네트워크에서는 X)

내용 : DR 연결된 Router 정보 (DR S.M neighbor목록)

범위 : 해당 Area

 

Type 3

생성 : ABR

내용 : 다른 Area 정보

범위 : 해당 Area

 

Type 4

생성 : ABR

내용 : ASBR 위치

범위 : 해당 Area

 

Type 5

생성 : ASBR

내용 : OSPF 외부 정보 (재분배 받은 정보)

범위 : 해당 AS

 

Type 7

생성 : ASBR

내용 : OSPF 외부 정보 (NSSA 축약)

범위 : 해당 AS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로 필터링 (Route Filtering)  (2) 2016.07.26
재분배 (Redistribution)  (0) 2016.07.01
[Config] NAT  (0) 2015.05.08
[Config] Access-List  (0) 2015.05.08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2) 2015.03.05

NAT 설정


1. Static NAT 설정하기

Static NAT는 고정적으로 mapping될 사설IP와 공인IP를 직접 입력시키는 방식이다.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Router(config)#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0.1.1.1  5.5.5.1

빨간색 글씨는 고정 명령어이고, 그 뒤에 사설IP와 공인IP를 순서대로 적는다.

 

 Router(config-if)# ip nat inside

 Router(config-if)# ip nat outside

사설IP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는 'ip nat inside' 명령어를 입력하고,

공인IP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는 'ip nat outside' 명령어를 입력한다.

 

 

 

2. Basic Dynamic NAT 설정하기

사설IP의 수가 여럿이면 ACL로 목록을 만들고, 공인IP의 수가 여럿이면 Pool로 목록을 만든다.

만들어진 목록으로 mapping 명령어를 쓴다.

 

 Router(config)# access-list 10 permit 10.1.1.0  0.0.0.255

 Router(config)# ip nat pool mypool 5.5.5.1 5.5.5.3 netmask 255.255.255.0

 

 Router(config)# ip nat inside source list 10  pool mypool 

ACL 10으로 사설IP 10.1.1.0/24를 목록화 했고, NAT에서 사용할 공인IP 주소도 Pool을 사용하여 목록화 했다.

Pool은 이름을 임의적으로 설정하고 뒷부분에 공인IP의 가용IP 범위의 첫번째와 마지막 주소를 입력한다.


 

 

3. PAT NAT 설정하기

하나의 공인IP를 여러 사설IP가 공유하여 사용하는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방식이다.  

위 Dynamic nat 설정과 동일하며, 설정 맨 뒤에 'overload' 명령어를 추가로 입력하면 된다.

 

 Router(config)# access-list 10 permit 10.1.1.0  0.0.0.255

 Router(config)# ip nat pool mypool 5.5.5.1 5.5.5.3 netmask 255.255.255.0

 

 Router(config)# ip nat inside source list 10  pool mypool  overload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분배 (Redistribution)  (0) 2016.07.01
OSPF LSA 정리  (2) 2015.10.02
[Config] Access-List  (0) 2015.05.08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2) 2015.03.05
ACL (Access-List)  (0) 2015.03.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