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 version 1 설정하기

 


1. 라우팅 프로토콜 선택하기

라우터에 IP설정을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설정모드로 들어가듯, 라우팅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 중에 어떤 프로토콜을 설정할 것인지 선택해서 설정모드로 진입해야 한다. 

이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router' 이다.


 Router(config)# router rip

 Router(config-router)



2. 광고할 네트워크 주소와 활성화할 인터페이스 설정하기

인터페이스 설정모드로 진입했다고 해당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듯, 프로토콜을 RIP으로 선택했다고 해서 RIP이 동작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동작이 되도록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한데, 바로 광고활성화이다. 

이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network' 이다.


 Router(config-router)network 10.0.0.0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10.0.0.0에 해당하는 모든 네트워크 정보가 광고되며, 이 광고 패킷은 10.0.0.0에 해당하는 주소를 가진 모든 인터페이스에서 송신된다. 





RIP 프로토콜 설정 실습

 

 

RIP 설정 명령어 풀이

R1

(config)# router rip

(config-router)# network 172.16.1.0

(config-router)# network 192.168.10.0

 

R2

(config)# router rip

(config-router)# network 172.16.1.0

(config-router)# network 192.168.20.0

 

network라는 명령어는 네트워크 정보를 광고하겠다는 의미와 해당 IP가 할당된 인터페이스에 프로토콜을 활성화 시키겠다는 의미를 함께 갖는다.

그래서 network 172.16.1.0 라는 명령어를 쓰면 172.16.1.0 주소를 광고하고 해당 주소가 할당된 인터페이스에 네트워크 광고를 활성화 하여 업데이트를 내보내게 된다.

그러한 이유로 이미 서로 Connected로 알고있는 주소를 network라는 명령어로 광고시키는 것이다. 

 

 



RIP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 확인하기


! Routing Table


 Routershow ip route


Codes: C - connected, S - static, I - IGRP, R - RIP, M - mobile, B - BGP

            : (code 생략)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72.16.0.0/24 is subnetted, 1 subnets

C       172.16.1.0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

C    192.168.10.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R    192.168.20.0/24 [120/1] via 172.16.1.2, 00:00:08, Serial0/0



 

! Protocol Infomation


 Routershow ip protocols


Routing Protocol is "rip"

Sending updates every 30 seconds, next due in 0 seconds

Invalid after 180 seconds, hold down 180, flushed after 240

 update : 경로정보가 담긴 패킷을 보내는 주기 - 매30초마다 보내진다

    Invalid : update 들어오지 않을때 문제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시간

    hold down : 문제가 생긴 경로정보를 바로 지우지 않고 저장해두는 시간

    flushed : 마지막 업데이트가 일어난  지정된 시간 뒤에 경로정보를 삭제

Outgoing update filter list for all interfaces is not set

Incoming update filter list for all interfaces is not set

Redistributing: rip

Default version control: send version 1, receive any version

  기본설정으로는 update를 Broadcast 보내고 Multicast/Broadcast 방식으로 전달 받는다

  Interface             Send  Recv  Triggered RIP  Key-chain

  Serial0/0                 1     2 1   

  FastEthernet0/0        1     2 1   

Automatic network summarization is in effect

Maximum path: 4

Routing for Networks:

 172.16.0.0

 192.168.10.0

 명령어로 광고시킨 네트워크 정보가 보여진다. 

   RIP 프로토콜은 Subnetting된 정보를 상세히 인식하여 광고하지 못하고, Major network 범위안에 포함되는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광고 및 활성화 하게 된다. 

Passive Interface(s):

Routing Information Sources:

 Gateway         Distance      Last Update

 172.16.1.2           120             00:00:06

 목적지 경로로 설정된 Next-hop 주소가 보여진다

Distance: (default is 120 RIP 기본 AD값이 120 이다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EIGRP 라우팅 설정  (0) 2014.08.22
[Config] RIPv2  (0) 2014.08.21
[Config] Dynamic Routing 공통사항  (0) 2014.08.19
[Config] Static Routing 설정  (0) 2014.08.19
[Config] 기본 설정 명령어 상세설명  (2) 2014.06.21

Dynamic Routing의 설정

 

Dynamic Routing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요 명령어는 router 와 network 이다




라우팅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명령어 : router

router 라는 명령어가 Dynamic Routing 설정하는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사용이 된다.

 명령어 뒤에 rip, eigrp  설정하고자 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이름을 적는다.

rip 뒤에 아무런 옵션이 붙지 않지만 eigrp 뒤에는 AS번호가, ospf 뒤에는 process-id 값이 들어간다는 점도 유의하자.

 


네트워크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명령어 : network

결과적으로는 라우터가 Connected로 알고있는 정보를 모두 광고하는 명령어로 입력하게 되지만, 아래와 같이 network명령어는  가지의 뜻을 가지고 있다.

 

1. 네트워크 광고

내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다른 장비들에게 알려주기 위한 기능이고, 해당 네트워크 주소정보를 광고를 하겠다 라는 뜻이 된다.

** 광고 (Advertisement)

Routing에서 광고란내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대역대를 이웃장비에게 알려주는 행위를 광고라고 한다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했을때 Connected 표시된 정보들을 광고해줄  있다.


2. 인터페이스에 Routing Protocol 활성화

광고를  네트워크 대역대 주소를 할당받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 Routing Protocol 활성화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router rip 이라고 치고 설정모드로 들어왔다고 해서 해당 프로토콜이 활성화가  것이 아니다.

 그대로 설정모드로 들어왔을 뿐이다따라서 설정하고자 하는 프로토콜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network라는 명령어로 활성화 하고자 하는 인터페이스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대역대를 광고해주어야만 한다.



 

** 명령어 기본 틀 **

router <Protocol> <Option>

 RIP 설정 시     :  router rip

EIGRP 설정 시  : router eigrp <AS-number>

OSPF 설정 시   : router ospf <Process-ID>

 

network <광고할 네트워크 주소>

RIP 설정 시     :  network A.B.C.D

EIGRP 설정 시  : network A.B.C.D  <Wildcard-mask : Optional>

OSPF 설정 시   : network A.B.C.D  <Wildcard-mask : Required>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RIPv2  (0) 2014.08.21
[Config] RIPv1  (3) 2014.08.21
[Config] Static Routing 설정  (0) 2014.08.19
[Config] 기본 설정 명령어 상세설명  (2) 2014.06.21
[OSPF] 간략정리  (0) 2014.06.02

Static Routing의 설정


ip route 라는 명령어로 Static Routing을 설정하며 명령어는 전역설정 모드(Global Configuration Mode) 에서 친다.

Static Routing은 관리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여 고정적인 값이기 때문에 경로설정을 잘못입력하면 통신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반드시 설정 후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해야 한다. 


 

명령어 구조


ip route <Destination IP> <Subnet-mask> { interface | address }


Destination IP : 라우팅 테이블에 입력하고자 하는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의미한다. (예 : 10.0.0.0, 192.168.1.0)

Subnet-mask : 앞서 입력한 목적지 네트워크의 서브넷 마스크를 입력한다. 

  목적지 네트워크의 범위와 서브넷 마스크가 다를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예 : 200.1.1.1 255.255.255.0 은 안된다. 200.1.1.0 255.255.255.0 으로 입력해야 한다.)

interface : 위 목적지 네트워크로 보내기 위한 경로설정으로, 어느 인터페이스로 패킷을 내보낼지 결정해주는 방식.

address : 또 다른 경로설정 방식으로, 어떤 이웃장비에게 패킷을 전달할지 결정해주는 방식.





Static Routing 설정 순서


1. 설정 전 몇 가지 확인하기

Routing Table에 Connected 정보가 잘 올라왔는지 확인한다.

 Router# show ip route


만약 인터페이스의 정보가 보이지 않는다면 어느부분에 문제가 생긴것인지 확인하여 수정한다.

 Router# show ip interface brief

 Router# show interface 




2. 라우팅 테이블에 학습시킬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와 경로정보를 입력한다. 

 Router# 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 ip route 200.1.1.1 255.255.255.0 172.16.2.3




3. 경로학습이 잘 되었는지 확인한다. 

 Router# show ip route





Static Routing 실습

 


R1에서 R2에 연결된 192.168.20.0/24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는 경로정보를 입력하고자 한다.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다른 라우터를 거쳐갈 수밖에 없으며, 위와 같은 경우에는 R1은 192.168.20.0/24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R2에게 전달해주어야 한다. 


1. Outgoing-interface : R2에게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자신의 인터페이스로 경로를 설정.


 R1(config)# 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serial0/0


R1# show ip route


C       192.168.10.0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172.16.0.0/24 is subnetted, 2 subnets

C       172.16.1.0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

S       192.168.20.0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

 


2. Next-hop address : R2에게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R1이 알고 있는 R2의 IP주소를 경로로 설정.


 R1(config)# 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172.16.1.2


R1# show ip route


C       192.168.10.0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172.16.0.0/24 is subnetted, 2 subnets

C       172.16.1.0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

S       192.168.20.0 [1/0] via 172.16.1.2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RIPv1  (3) 2014.08.21
[Config] Dynamic Routing 공통사항  (0) 2014.08.19
[Config] 기본 설정 명령어 상세설명  (2) 2014.06.21
[OSPF] 간략정리  (0) 2014.06.02
[Config] 설정모드 및 명령어 정리  (0) 2014.05.28

라우터 기본설정 명령어

 

 

 

R1의 Serial Interface 설정

R1>  : 처음 접속하면 보여지는 사용자 모드

R1> enable  : 관리자 모드(Privileged mode)로 들어가기 위한 명령어

 

R1#  : 장비 동작을 변경시키는 설정을 제외한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기본적인 모드

R1# configure terminal  : 전역설정 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명령어

 

R1(config)#  :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설정을 할 수 있는 설정모드

R1(config)# interface serial 0/0  : 인터페이스 설정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명령어

 

R1(config-if)#  : 인터페이스 설정모드

R1(config-if)# ip address 172.16.1.1 255.255.255.0  : 인터페이스에 IP주소 설정

R1(config-if)# encapsulation ppp  : 인캡슐레이션 방식 변경 (HDLC/PPP/Frame-relay 등이 있음)

R1(config-if)# bandwidth 64  : 64Kbit로 인터페이스의 대역폭을 변경

R1(config-if)# clock rate 64000  : 64000bps(=64Kbps)의 속도로 클럭신호 설정. DCE인터페이스만 설정한다

R1(config-if)# no shutdown  : 인터페이스 활성화 (라우터는 모든 인터페이스가 기본적으로 닫혀있다)

 

 

Ethernet Interface 설정

R1(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0  : 100M의 속도를 가지는 인터페이스이고 현재 LAN 기본속도이다

R1(config-if)# ip address 192.168.10.254 255.255.255.0  : 이 IP주소가 PC에게 게이트웨이 주소가 된다

R1(config-if)# no shutdown  : 인터페이스 활성화

 

 

설정모드 변경

exit  : 모드 하나씩 전단계로 빠져나가는 명령어

end  : 관리자모드로 한번에 빠져나가는 명령어

ex)

R1(config-if)# exit

R1(config)#

R1(config-if)# end

R1#

-------------------------------------------------------------------------------------------

 

R2의 Serial Interface 설정

R2> enable 

R2# configure terminal 

R2(config)# interface serial 0/0 

R2(config-if)# ip address 172.16.1.2 255.255.255.0 

R2(config-if)# encapsulation ppp 

R2(config-if)# bandwidth 64 

R2(config-if)# clock rate 64000 

R2(config-if)# no shutdown 

 

Ethernet Interface 설정

R2(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R2(config-if)# ip address 192.168.20.254 255.255.255.0 

R2(config-if)# no shutdown 

 

-------------------------------------------------------------------------------------------

 

설정 확인

설정확인은 관리자모드(Privileged mode)에서 한다

R1#

 

show running-config  : 현재 설정한 내용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show ip interface brief  : 장비의 인터페이스 간략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how interface serial(or fastEthernet) x/x  : 해당 인터페이스의 상세설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ping x.x.x.x(목적지 IP주소)  : 목적지 주소의 인터페이스와의 연결성을 확인할 수 있다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Dynamic Routing 공통사항  (0) 2014.08.19
[Config] Static Routing 설정  (0) 2014.08.19
[OSPF] 간략정리  (0) 2014.06.02
[Config] 설정모드 및 명령어 정리  (0) 2014.05.28
[EIGRP] 간략정리  (0) 2014.05.28

 

OSPF 개요

OSPF 표준 프로토콜로서 모든 벤더사의 제품에서 사용할 있는 Link-State Protocol이다.

Distance Vector처럼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는 것이 아니라 Link-State 정보(Link = Interface, State = Information) 교환하여 자신의 Data base 저장한다. 정보들 덕분에 Link-State 프로토콜은 전체적인 토폴로지를 이해할 있게 된다. 또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최적경로를 직접 계산하여 선택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라우팅 정보를 담아 OSPF 주고 받는 광고 패킷을 LSA라고 하며 네트워크의 변화가 생기면 즉시 다른 라우터에게 전달하여 알린다.

 

OSPF 구성이 계층적 구조로 구성이 되어 있고, Area라는 구간을 나누어 사용한다.

Area 나누면 서로 교환해야 되는 상태정보도 줄어들고 링크 계산 속도와 빈도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Routing Table 사이즈도 줄어들어 관리하기가 용이해진다.

ABR (Area Boundary Router)  : 이상의 Area 속하는 중개 라우터

ASBR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  : 외부영역과 연결되는 라우터

Backbone Router  : Backbone Area 속하는 라우터

Internal Router  : 하나의 영역에 속하는 라우터

 

장점

- 표준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장비간 호환성이 좋다

- 수렴시간이 빠르다

- 영역(Area) 나누어 관리하여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단점

- 계층적 구조를 반드시 따라야 하며, 설정이 어렵다

- SPF 알고리즘을 통해 직접 경로계산을 하기 때문에 리소스 소모량이 많다

 

 

 

OSPF Cost계산

OSPF 매트릭으로 Cost 사용하고, 값은 대역폭을 10 8승의 숫자로 나눈 값을 사용한다.

Bandwidth 클수록 비용이 낮아져야 하는데, OSPF에서 계산한 값의 소수점은 무조건 올림 처리하는 방식 때문에 대역폭이 100M 이던 1G이던 Cost 값이 같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대역폭의 값을 변경시켜 사용하기도 하며 아래의 표와같이 참조하여 사용되도록 Cost값을 미리 지정해두고 사용하기도 한다.

 

 

 

 

OSPF 설정

 

 

OSPF 뒤에 Process-id 붙이도록 하고 있다. 값은 하나의 라우터에서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려고 할때 이를 구분짓기 위한 번호로 사용된다.

, EIGRP처럼 같은 번호여야만 같은 라우팅 정보를 주고 받을 있는 ASN(AS Number)과는 다른 개념이다.

 

Wildcard-mask Subnet-mask 보수이며 필요한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할 사용된다.

Subnet-mask Net-id Host-id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Wildcard-mask 네트워크 범위를 뽑아낸다 라는 개념으로 사용 목적이 다르다.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Static Routing 설정  (0) 2014.08.19
[Config] 기본 설정 명령어 상세설명  (2) 2014.06.21
[Config] 설정모드 및 명령어 정리  (0) 2014.05.28
[EIGRP] 간략정리  (0) 2014.05.28
[RIP] 간략정리  (0) 2014.05.28

 

설정모드 구분하기

> : 사용자 모드 (user mode)

# : 관리자 모드 (privileged mode)

(config)# : 전역설정 모드 (global configuration mode)

(config-if)# : 인터페이스설정 모드 (interface configuration mode)

(config-line)# : 관리포트설정 모드 (line configuration mode)

(config-router)# : 라우팅프로토콜 설정모드 (router configuration mode)

(config-subif)# : 서브인터페이스 설정모드 (subinterface configuration mode)

 

 

콘솔설정

(config)# line console 0  : 콘솔설정모드로 진입

(config-line)# exec-timeout 0 0   : 콘솔세션시간 설정 (0 0초는 무한대 사용)

(config-line)# logging synchronous   : 로그와 명령어 분리

(config-line)# **인증설정** (뒤에 따로 표시)

 

 

가상터미널 설정

(config)# line vty 0 4   : virtual terminal 설정모드로 진입 (0 4 0번부터 4 이라는 )

(config-line)# **인증설정** (뒤에 따로 표시)

가상터미널에 인증설정을 하지 않으면 접속이 제한되므로, 반드시 해주어야 한다.

 

**인증설정**

1. password 인증

(config-line)# password <pw-word>

(config-line)# login

2. local 인증

(config)# username <id> password <pw>

(config-line)# login local

3. No 인증

(config-line)# no password

(config-line)# no login

 

인터페이스 설정

**Serial 설정**

(config)# interface serial 0/0

(config-if)# ip address <address> <subnet-mask>

(config-if)# no shutdown

(config-if)# encapsulation {ppp|hdlc}

(config-if)# bandwidth <number>

(config-if)# clock rate <clock-num>

 

**Ethernet 설정**

(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0

(config-if)# ip address <address> <subnet-mask>

(config-if)# no shutdown

 

 

Routing 설정

**Static Routing**

(config)# ip route <network> <subnet-mask> <패킷을 내보내야 하는 인터페이스 번호>

(config)# ip route <network> <subnet-mask> <패킷을 전달하는 방향의 next-hop ip address>

 

**Default Routing**

(config)# ip route 0.0.0.0 0.0.0.0 <경로>

 

**Dynamic Routing**

-RIP-

(config)# router rip

(config-router)# network <address>

(config-router)# version <1-2>

 

-EIGRP-

(config)# router eigrp <ASN>

(config-router)# network <address> [wildcard-mask]

 

-OSPF-

(config)# router ospf <process-id>

(config-router)# network <address> <wildcard-mask> area <area-id>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기본 설정 명령어 상세설명  (2) 2014.06.21
[OSPF] 간략정리  (0) 2014.06.02
[EIGRP] 간략정리  (0) 2014.05.28
[RIP] 간략정리  (0) 2014.05.28
Dynamic Routing이란?  (0) 2014.05.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