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yer 4. Transport Layer

 

Transport 계층은 서비스를 구분하고 데이터 통신방식을 결정하는 계층이다.

4계층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위계층과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하위계층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위계층의 서비스들을 구분하여 정확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통신방식을 달리하여 효율적으로 통신될 수 있도록 의사결정을 해준다.

 

 

1. 서비스 구분 번호

Port number

: 포트번호는 서비스 구분 번호라고도 불리는 Transport 계층의 주소이다. Application 계층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들을 구분하기 위해 숫자로 식별값을 부여했는데 이를 Port number라고 한다.

총 0 ~ 65535번의 값을 사용하고 이 중에서 0 ~ 1023번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에게 할당되어 있다. 잘 알려진 포트번호라는 뜻으로 Well-known port number라고 한다. 이 뒤의 주소는 랜덤포트번호라고 하고 이 중에서도 상용 어플리케이션들이 IANA에 등록하고 사용하는 등록번호(Registered number)가 1024 ~ 49151번으로 따로 구분되어 있다.

 

대표적인 Well-known Port

Protocol

Rule

Port

DNS

 도메인과 IP 변환해주는 서비스

53 / UDP

DHCP

 IP 자동할당 서비스 프로토콜

67,68 / UDP

FTP

 (대용량) 파일 전송 프로토콜

20(data),21(control) / TCP

TFTP

 (소용량) 파일 전송 프로토콜

69 / UDP

HTTP

  서비스 프로토콜

80 / TCP

HTTPS

 보안 서비스 프로토콜

443 / TCP

Telnet

 원격접속 프로토콜

23 / TCP

SSH

 보안 원격접속 프로토콜

22 / TCP

 

 

 

데이터 통신 방식 결정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신뢰성을 가지고 있지만 통신속도가 UDP보다 느린 통신방식이다.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면서 정확하게 전달이 되었는지 통신상태를 확인해주는 확인응답인 ACK 패킷을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가지고 있어서 신뢰성이 있는 프로토콜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신뢰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오류제어와 흐름제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오류제어

 : 데이터 전달에서 오류 또는 손실이 발생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정확하게 모든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

 

흐름제어

 : 빠른 통신을 위해 여러 세그먼트를 한꺼번에 주고 하나의 ACK를 받아 통신할 수 있는데, 이 때 수신 장비가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표시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통신이 일어날 수 있도록 흐름을 제어해주는 기능

 

TCP 3Way-Handshake 

 : Host A와 Host B가 통신을 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하는 일은 통신을 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것이다.

사람이 만나서 용건을 얘기하기 전에 서로의 이름을 밝히고 악수부터 나누는 것처럼 TCP로 통신할 장비들도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3번에 걸쳐서 인사(통신확인)를 한다. 그걸 3Way-handshake라고 한다.

 

Host A가 Host B에게 먼저 통신이 되는지 물어본다.

Host A : 야, 너 내말 들려? (SYN)

//Send SYN - SYN flag를 1로 표시하고 랜덤한 숫자를 Sequence number필드에 넣어 전송한다

 

Host B는 이에대한 응답을 보내며 자신도 통신이 되는지 확인하는 값을 보낸다.

Host B : 응, 니말잘들려.(ACK)

            내말은 잘들려?(SYN)

//Send SYN,ACK - SYN과 ACK flag를 1로 표시하고 전달받은 Seq값에 1을 더해 ACK값으로 넣고 랜덤한 숫자를 Sequence필드에 넣어 전송한다.

 

Host A는 Host B가 준 SYN에 응답해주고 서로 연결이 잘 되어있다는 것의 확인을 마친다.

Host A : 니말도 잘들려.(ACK) 

//Send ACK - Host B에게 응답을 보낸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

: 신뢰성이 없는 대신 빠른속도로 통신되는 특징을 가진 통신방식이다.

소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되는 데이터들은 TCP처럼 세션을 맺어 통신하면 너무 속도가 느려지고 비효율적이다. 이런 경우에는 UDP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음성이나 영상같이 속도에 민감하면서 데이터 재전송이 일어나면 안되는 데이터들도 UDP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만약 TCP를 사용하면 속도가 떨어져서 실시간으로 데이터 전달이 어려워지고, TCP처럼 손실된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되면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가 뒤죽박죽으로 뒤섞여 제대로 데이터를 받아볼 수 없을 것이다.

 

 

'Network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0) 2014.12.08
ARP (주소결정프로토콜)  (5) 2014.08.07
Wildcard-Mask (와일드카드 마스크)  (6) 2014.07.26
서브넷팅 (Subnetting)  (5) 2014.07.22
Subnet-Mask (서브넷 마스크)  (0) 2014.07.21

Frame-relay Interface 설정

Sub Interface

프레임 릴레이에서는 하나의 물리적인 interface를 가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Sub Interface라고 한다. 

Sub Interface는 물리적 Interface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논리적 interface로 프레임 릴레이 Sub Interface는

 물리적인 Serial interface로 들어오는 각각의 PVC에 대하여 설정이 가능하다. 프레임 릴레이 Sub Interface는

 Point-to-point 와 Multi point 가 있다.

 

Router(config-if)# no ip address

Sub Interface 설정하기 전에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있다면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Router(config-if)# encapsulation frame-relay

인캡슐레이션도 프레임릴레이로 변경한다.

 

 

Point-to-Point

1개의 Point-to-point Sub Interface 다른 Router 하나의 물리적 interface 또는 Sub Interface 연결되며  

interface 단일 DLCI 가지게 된다 Sub Interface 독립된 보통의 Point-to-point interface처럼 동작하며

별도의 Subnet 가지기 때문에 Split-horizon 규칙에 제한되지 않는다

 

Router(config)# interface serial 0/0.102 point-to-point

포트번호  마침표를 이용해 Sub-interface 만들고 뒤에 point-to-point 입력한다.

Router(config-subif)# ip address 1.1.10.1 255.255.255.0

Router(config-subif)# bandwidth 64

서브인터페이스에 IP 대역폭을 지정한다.

Router(config-subif)# frame-relay interface-dlci 102

해당 인터페이스에 DLCI 설정하는데 번호는 프레임릴레이 서비스 제공자가 할당한다.

 

 

Multipoint

1개의 Multipoint Sub Interface 다른 Router 복수 개의 물리적 interface 또는 Sub Interface 연결할  사용

한다.  m,관련되는 모든 interface들은 동일한 subnet 놓이게 된다 Sub Interface NBMA 프레임 릴레이

interface 유사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Split-horizon 규칙에 제한된다.

 

Router(config)# interface serial 0/0.2 multipoint

포트번호  마침표를 이용해 Sub-interface 만들고 뒤에 multipoint 입력한다.

Router(config-subif)# ip address 1.1.10.1 255.255.255.0

Router(config-subif)# bandwidth 64

서브인터페이스에 IP 대역폭을 지정한다.

Router(config-subif)# frame-relay map ip 1.1.10.2 120 broadcast

Router(config-subif)# frame-relay map ip 1.1.10.3 130 broadcast

Router(config-subif)# frame-relay map ip 1.1.10.4 140 broadcast

원격 라우터와 통신할  사용할 DLCI Mapping 한다.

 

 

 

Frame-relay 설정 확인 하기

 

  • show interface

Interface 설정된 LMI type, LMI DLCI, 프레임릴레이 DTE/DCE type 등을 확인할  있다.

 

 

  • show frame-relay lmi

LMI 통계 정보들을 살펴   있다출력된 내용 중에 0 아닌 모든 Invalid'항목을 찾아서 전송사업자의 

Switch 사용자의 Router 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있다.

 

  

  • show frame-relay map

현재의 매핑 내용과 연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있다

 

  

  • debug frame-relay lmi

Router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가 LMI Packet 올바르게 송수신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검증 과정에서 프레임 릴레이 설정이 적절하게 동작되지 않으면 설정에 대한 트러블 슈팅이 필요한데 

  사용하는 것이다.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ame-relay  (0) 2018.08.16
경로 필터링 (Route Filtering)  (2) 2016.07.26
재분배 (Redistribution)  (0) 2016.07.01
OSPF LSA 정리  (2) 2015.10.02
[Config] NAT  (0) 2015.05.08

프레임 릴레이는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되는 대표적인 WAN 프로토콜이다.

전용선에 비해 저렴하고 적은 복잡성과 간단한 구현 방법으로 구성 비용을 절감하게 도와둔다

또한 전용선에 비해 광대역, 높은 신뢰성, 유연성을 제공한다.

 

프레임 릴레이 망에서는 가상 회선(Virtual Circuit)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물리적 회선을 하나의 회선만으로 

대체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하는 가상회선을 PVC(Permanent Virtual Circuit)라고 한다. PVC 논리

경로로서 종단 사용자 간의 고유 경로를 정의한다.

 

용어정리

가상 회선 (Virtual Circuit)

: 가상 회선은 2개의 종단 장비간 양방향 통신 경로를 제공하며, DLCI 의해 식별된다.

가상회선은 SVC(Switched Virtual Circuit)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나뉜다.

 

SVC (Switched Virtual Circuit)

: 요구에 의해 동적으로 설립되고 전송이 끝나면 해제되는 가상회선 이다.

필요에 의해서만 연결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한다.

SVC 통한 통신 세션은 호출 설정, 데이터 전송, 유휴 상태, 호출 종료 이렇게 4가지 동작 상태를 갖는다.

 

PVC (Permanent Virtual Circuit)

: 영구적으로 설정된 연결로서 지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한다.

PVC 항상 데이터 전송, 유휴 상태 하나의 상태에서 동작하며, 일반적으로 프레임 릴레이는 PVC사용

 

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 F/R 네트워크에 만들어진 가상 회선들을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물리적 주소이다.

 

Inverse ARP

: PVC 상에서 라우터 자신의 DLCI 상대 라우터의 IP주소를 자동으로 맵핑하는 작업을 하는 프로토콜.

 

LMI (Local Management Interface)

: 라우터와 F/R 스위치 사이에서 PVC 상태 정보를 주고 받을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라우터는 프레임릴레이 네트워크 내부에 PVC상태 정보를 스스로 인식할 없기 때문에 항상 인접한 

F/R 스위치와 PVC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문의하여 가상회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Frame-relay 네트워크 구성

 


프레임릴레이 사용자들은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공유하지만 논리적인 가상회선으로 구별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이더넷 스위치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노드들을 VLAN으로 나누는 작업과 같은 개념이다.

 

가상회선은 하나의 물리 인터페이스에 다수가 연결될 있으므로 별도의 물리적 회선과 시리얼 인터페이스 

추가 없이도 그림과 같은 여러 토폴로지를 구현할 있다.

가상회선 개념은 WAN에서 L2 VPN 지원할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상회선으로 연결된 L2 네트

워크과 L3 네트워크의 구조가 달라질 있다는 의미이다.

 

프레임릴레이는 Public Network 특성을 가지고 있고 공유망이라 할지라도 특정 노드들의 데이터 전송 신호가

다른 노드에 전달되지 않으며 노드들은 논리적인 가상회선을 통해 개별적인 통신 경로를 가지고 있으므로

NBMA라고도 한다.

 

 

 

 

DLCI IP Mapping 방식

 

 

Router가 프레임 릴레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려면 각 Router는 어느 로컬 DLCI가 원격 목적지의 

3계층 주소에 매핑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Cisco router는 IP, IPX, AppleTalk과 같은 모든 네트워크 계층 프로

토콜을 프레임 릴레이에서 지원하고 이 주소와 DLCI의 매핑은 정적 또는 동적으로 일어난다.

동적 주소 매핑은 Next hop address와 Local DLCI를 mapping시키는데 Inverse ARP를 사용하는 것이고, 정적

 주소 매핑은 수작업으로 입력하는 방식이다.

 

 

Inverse ARP와 LMI를 사용하여 DLCI와 IP를 매핑하는 과정

 

 

  1.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에 Router 연결하는데 Router interface 프레임 릴레이를 지원하는 encapsulation 설정과 IP 주소가 설정 되어 있어야 합니다.

  2. 프레임 릴레이 설정이 적용된 interface 활성화 되면 Router 인접한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에게 PVC 상태 정보를 문의합니다.

  3.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가 Router에게서 status inquiry message 수신하면 PVC Local DLCI number 상태 정보를 router에게 알려 줍니다.

  4. Router들은 PVC Active 상태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자신의 Local DLCI number 상대 Router IP주소 정보를 매핑하기 위해 Inverse ARP 수행합니다. Router 자신의 IP 정보를 소개합니다.

  5. Inverse ARP 통해 상대 Router IP 주소를 알게 되면 프레임 릴레이 매핑 정보를 생성합니다.

  6. 이후 60초마다 Router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Active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Inverse ARP 수행합니다.

  7. LMI 신호를 주기적으로 보내서 PVC 상태를 확인합니다.

 

 

LMI - Frame-relay Signaling

기본적으로 LMI는 Router와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간의 연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유지 매커니

다.

주기적으로 장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Keepalive 역할을 합니다. 10초마다 종단 장치는 누락된 순차 응답 

또는 채널 상태 정보를 위해 망에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합니다. 이에 응답이 오지 않으면 연결이 끊어진 것으

로 간주합니다.

 

LMI 여러 타입이 있는데 서로 간에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Router 구성된 LMI 타입은 서비스 제공자에서 

사용한 타입과 동일해야 한다. Cisco router Cisco, Ansi, q933a 지원합니다. Cisco IOS 소프트웨어 버전 

11.2부터는 LMI 자동 감지 기능이 직접 연결된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가 지원하는 LMI 타입을 감지한다.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LMI 상태 메시지에 근거하여 Router 자동으로 자신의 인터페이스 LMI 타입을 

설정한다. LMI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show frame-relay lmi 입력한다.

 

LMI 기본적으로 PVC 상태 정보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알려준다.

- Active state    : PVC 상태가 정상적이므로 Router 사이에 정보 교환이 가능

- Inactive state  : Remote router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간에 문제가 있음

- Deleted state  : Local router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사이에 문제가 있음

 

 

 

정적인 방법으로 DLCI와 IP를 매핑하는 과정

 

 

라우터에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Router(config-if)# frame-relay map [protocol] [protocol-address] [dlci] {broadcast}

Option 설명

- protocol : 지원하는 프로토콜 (Apple-talk, IPX, IP 등이 있다)

- protocol-address : 목적지 라우터의 주소

- dlci : 원격지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로컬 DLCI

- broadcast (optional) : 가상회선에 Broadcast Multicast 허용하는 명령어. 옵션이 있어야 

Dynamic라우팅 가능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프레임릴레이(Frame-relay)  (0) 2018.08.16
경로 필터링 (Route Filtering)  (2) 2016.07.26
재분배 (Redistribution)  (0) 2016.07.01
OSPF LSA 정리  (2) 2015.10.02
[Config] NAT  (0) 2015.05.08

Switchport의 동작모드 'Trunk'

 

 

Trunk는 다수의 VLAN 트래픽이 하나의 스위치 포트로 통신될 수 있도록 공유된 링크를 말한다.

 

만약 Access로만 설정할 수 있다고 하면, 서로 다른 스위치에 설정된 동일한 VLAN의 통신을 위해서 스위치간 연결 시 VLAN 개수만큼 케이블을 별도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Trunk를 사용하면 스위치에 설정된 모든 VLAN의 프레임은 하나의 포트로만 전달될 수 있다.

 

 

 

 

위 그림에서 F0/1으로 각 VLAN 트래픽이 전달되고 있는데 여기에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SW2이 수신한 프레임이 정확히 어느 VLAN 트래픽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Access 설정은 포트에 직접 VLAN을 지정한 방식이기 때문에 프레임을 수신한 포트의 설정만으로 VLAN간 트랙픽 구분이 쉽지만, Trunk로 설정된 포트에는 특정 VLAN이 지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포트로 들어오는 프레임이 어디로 전달되어야 하는 것인지 경로 결정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물리적 포트가 아닌 '데이터'에 VLAN을 표시해서 전달하고자 하는데 이를 Trunking Encapsulation이라고 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프레임에 VLAN 정보를 꼬리표처럼 추가로 달아 전송한다.  

VLAN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802.1Q'와 'ISL'이 있다.

 

 

 

 

802.1Q는 dot1q라고도 부르며, 표준프로토콜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4Byte의 작은 크기로 오버헤드가 크지 않으며, 오리지널 프레임의 중간에 삽입되는 방식(tag)이다.

장비간 호환성도 뛰어난데, Native vlan이라는 기능으로 Trunk 구간에 허브가 있어도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동작한다.

 

ISL은 시스코에서 만든 프로토콜이라 장비간 호환성이 좋지 못하고 30Byte가 추가로 붙어 오버헤드가 커서 현재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프로토콜이다.

 

헤더 내에 BPDU를 삽입하여 VLAN별로 STP를 동작시키는 PVST 기능이 있어 유용하였지만, 지금은 dot1q를 사용해도 PVST+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리트가 없다.

 

 

 

'Network > Swit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port - Access  (1) 2018.06.17
Port-security 실습  (0) 2015.11.28
[Config] STP 네트워크 보호 기술  (1) 2015.01.02
이중화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HSRP/VRRP)  (2) 2014.10.05
[Config] Inter VLAN Routing (with L3 Switch)  (0) 2014.09.29

Switchport의 동작모드 'Access'


 

Access 모드는 VLAN을 사용하여 Broadcast domain을 분할하기 위해 필요한 스위치포트의 동작 모드이다. 


스위치는 Frame을 전달하기 위해 MAC address 테이블의 정보를 확인하여 목적지에 대한 통신 경로를 결정하고, 경로가 결정되지 못한 Frame일지라도 내부통신이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 Flooding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Encapsulation & Decapsulation을 생각해보면 Broadcast 메시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하지만 스위치에서 VLAN이라는 기능을 사용하여 Broadcast domain을 분할할 수 있다. 

다음 그림과 같이 특정 인터페이스에 VLAN이라는 식별 값을 부여하고, 이 값이 동일한 포트끼리만 데이터 전달을 허용한다. 

 


 

번호가 달리 설정된 포트는 마치 연결되지 않은 서로 다른 장비처럼 통신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Broadcast domain을 분할하고 있는 것이다. 


VLAN 번호가 10번으로 지정된 포트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은 무조건 VLAN 10으로 설정된 포트로만 나갈 수 있고, VLAN 번호가 20번으로 지정된 포트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은 VLAN 20으로 설정된 포트로만 전달된다.


 


[LAB 1]

 

[LAB 1]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두 개의 VLAN을 사용하여 Broadcast domain을 설정 한다면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대부분은 아마 모든 스위치에 VLAN을 설정할 것이다. 

 

* Configurations of ASWs

 (config)# vlan 10

 

 (config)# interface range f0/1, f0/8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ASW3은 vlan 20)

 

 

* Configurations of DSW

 (config)# vlan 10, 20

 

 (config)# interface range f0/1, f0/3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config)# interface range f0/1, f0/3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

 

 

 

 

하지만 L2 스위치는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맨 위에 있는 DSW 장비 하나만 VLAN을 설정하면 된다. 

만약 아래 그림과 같은 상황에서 양 쪽 PC는 서로 통신할 수 있을까?

 

[LAB 2]


 

두 PC는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스위치는 로컬에 설정된 VLAN만을 고려하여 통신 경로를 결정하지, 다른 장비에 설정된 VLAN까지 고려하지는 않는다.

 

그림을 보면서 왠지 통신이 되지 않을 것 같은 생각이 드는 것은 'ASW1에서 보내는 프레임이 VLAN1인데..' 라며 데이터에 VLAN이 설정된것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DSW는 VLAN10으로 설정된 포트에 수신된 데이터는 동일한 VLAN10으로 설정된 포트로 전달할 뿐이고, ASW에 설정된 VLAN은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시 정리해보면, Access port는 하나의 스위치가 가지고 있는 포트에 VLAN이라는 구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VLAN-ID라는 식별값으로 각 포트를 구분하여 Unicast 및 Broadcast, Multicast 프레임이 동일한 VLAN으로 설정된 포트로만 전달될 수 있도록 통신 범위를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Network > Swit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port - Trunk  (0) 2018.06.19
Port-security 실습  (0) 2015.11.28
[Config] STP 네트워크 보호 기술  (1) 2015.01.02
이중화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HSRP/VRRP)  (2) 2014.10.05
[Config] Inter VLAN Routing (with L3 Switch)  (0) 2014.09.29

1. 스크린 락 해제하기






2. VMware Tools 설치



재부팅 후 전체화면으로 크기를 키워 화면 맞춤이 되는지 확인한다. 





3. IP 설정하기


명령어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시스템 적용이 잘 되지 않는다. 

재부팅을 해줘야 제대로 설정이 완료되니 설정을 다한 후 꼭 재부팅 해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