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Install'과 'Graphical Install'은 보여지는 화면의 차이일뿐 다르지 않습니다. 




한글로 설치하면 글씨가 깨지지 않도록 한글팩을 따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간혹 제대로 실행되지 않고 에러나 나는 경우도 있어서 영어로 설치합니다. 




시스템의 위치 및 시간 등은 칼리를 사용하는데 큰 영향이 없기에 그냥 기본 값으로 두고 넘어갑니다.




슈퍼유저인 root의 비밀번호는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굳이 복잡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니 기억하기 쉬운 값으로 설정하세요.




필요에 따라 'apt-get'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치하기도 하니 'yes'를 선택해주세요.




HTTP 프록시는 따로 설정하지 않습니다. (빈칸으로 둠)




마지막 화면에서 boot loader의 위치를 지정해주지 않으면 부팅이 되지 않으니

반드시 /dev/sda 를 선택해주셔야 합니다. 







2016년 5월, EIGRP의 RFC문서가 공개되었다. 

문서의 번호는 RFC 7868.


EIGRP 프로토콜은 시스코 전용 프로토콜로 다른 벤더사 장비와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EIGRP를 표준으로 공개하면서 그 단점은 이제 사라졌다. 


앞으로는 다른 벤더사 장비에서도 합법적으로 EIGRP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으니, 기존의 프로토콜들과 함께 더 적절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골라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은 좋은일 같다. 



EIGRP를 표준으로 공개할 계획을 세운건 2013년.

시스코에서는 EIGRP를 왜 공개하며, 앞으로의 계획은 어떠한지 홈페이지에 질문과 답변 형식으로 글을 게시해두었다. 


위 글의 내용을 간략하게 해석하면, 

첫 번째 질문은 '왜 EIGRP를 공개하느냐' 이며, 그에 대해 다양한 벤더사 장비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EIGRP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들이 좀 더 좋은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이라고 답하고 있다. 


두 번째 질문은 '어떤 것을 공개하는가' 이며, 고가용성을 고려한 EIGRP의 설정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EIGRP에 대한 내용을 RFC에 담았다고 답하고 있다. 


좀 더 많은 질문의 내용을 보고 싶으면 아래 링크를 눌러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본다.

http://www.cisco.com/c/en/us/products/collateral/ios-nx-os-software/enhanced-interior-gateway-routing-protocol-eigrp/qa_C67-726299.html



기본적인 내용을 담았다고 하는 RFC문서에는 EIGRP의 개요, DUAL 알고리즘과 프로토콜의 동작 과정, 패킷 포맷과 매트릭에 대한 내용들이 정리 되어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은 분들은 RFC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RFC문서 링크 :  https://tools.ietf.org/html/rfc7868#page-41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CCNP 응시료 인상  (3) 2017.02.12
곧 CCNA (200-120) 자격증 시험이 바뀝니다!  (5) 2016.06.26

안녕하세요~ 

이번에도 CCNA와 CCNP를 준비하는 많은 분들에게 알려드릴 내용이 있어 글을 씁니다. 


자격증 응시료가 인상된지 그리 오래된것같지 않은데, 이번에 또 인상이 되었습니다.

정작 올라야할 내 월급은 오르지 않는데... 물가와 시험비는 잘만 올라가네요 ㅠㅠ


시험비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사이트 링크를 알려드립니다. 

  ☞ http://www.vue.com/vouchers/pricelist/cisco.asp#prices



국가별 시험 응시료 안내 페이지 중 우리가 봐야할 부분을 부분 캡쳐했습니다. 


위 내용을 보면 CCNA는 325달러로 30달러가 인상되었고, CCNP는 300달러로 50달러가 인상되었군요. 

CCNP는 더군다나 3과목을 봐야하니... 900달러가 있어야 CCNP를 취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네요.


시험은 어려워지고 응시료는 올랐지만 취업이 어려운시기에 안딸수도 없는 노릇이니, 

더더욱 공부를 열심히해서 한번에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세워야할듯 싶습니다!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으로 공개된 Cisco EIGRP  (2) 2017.07.20
곧 CCNA (200-120) 자격증 시험이 바뀝니다!  (5) 2016.06.26

Filtering 이란?

 

라우팅 프로토콜은 메트릭, AD, 컨버전스 시간 서브넷 정보 전송 여부 등이 서로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재분배 후 적절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라우팅 루프, Flapping, Black-hole 등이 발생될 수 있고, 최적이 아닌 라우팅 경로가 선택될 수도 있다.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시키는 과정에서 필요하지 않은 경로 정보를 차단하거나, 재분배 시 일부 네트워크 경로의 옵션을 변경시키고 싶은 경우 Filtering을 사용한다.  

 

경로 필터링을 위해 Distribute-list Route-map 사용할 있으며, 필터링을 적용시킬 네트워크 주소 범위는 Access-list 또는 Prefix-list를 사용한다.  

  

  

 

 네트워크 범위의 지정을 위한 Access-listPrefix-list 

 

Access-list의 특징 

  • Standard ACL과 Extended ACL 두 가지의 종류로 나눠진다. 

  • 이름을 지정하는 방법에 따라 numbered와 named 두 가지의 설정 방법이 있다. 

  • 네트워크 범위를 와일드카드(wildcard) 마스크를 사용한다.  

  • 설정 중 Host 또는 Any라는 단어로 와일드카드 마스크를 생략할 수 있다.  

 

Prefix-list의 특징 

  • Standard 필터링만 설정할 수 있다. 

  • Named 방식으로만 이름을 지정한다. 

  • 네트워크 범위를 prefix-length로 지정한다.  

  • 특정 prefix-length 뿐만 아니라 ge, le를 사용해서 범위로도 지정할 수 있다. 

  • ACL에 비해 직관적인 범위 지정으로 장비의 성능이 향상된다.  

 

Access-list와 Prefix-list의 비교 

 

access-list 10 permit 192.168.1.0 0.0.0.255 

ip prefix-list comp-acl permit 192.168.1.0/24 

위와 같이 입력했을 때 결과는 아래 표와 같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미지

 

 

  

 

 

 특정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광고 필터링을 위한 Distribute-list 

 

특정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광고하는 주소의 필터링을 할 수 있으며, 필터링 할 네트워크의 설정은 ACL 또는 Prefix-list를 사용한다. 둘 다 named 설정이 가능하므로 ACL은 그냥 이름을 명시하고 Prefix-list는 prefix 라는 옵션을 적어 주고 이름을 명시한다.  

 

1. ACL로 네트워크 범위 설정 시 

ip access-list standard PER-10 
  permit 1.1.10.0 0.0.0.255  
router rip  
  distribute-list PER-10 out s1/0 

 

2. prefix-list로 네트워크 범위 설정 시 

ip prefix-list ONLY-10 permit 1.1.10.0/24 
router rip 
  distribute-list prefix ONLY-10 out s1/0 

  

 

 

  

 

 

 여러 옵션으로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 Route-map 

 

패킷의 통신을 허용/거부 하거나, 광고 정보 중 내용을 제거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필터링 기능 외에도 많은 설정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 Route-map이다. 전달되는 정보 중 일부분만 메트릭을 변경하거나, 출발지에 따라 전달될 Next-hop의 주소를 변경하는 등의 다양한 정책을 세울 수 있다.  

 

 

Route-map이 사용되는 경우 

    • 재분배 중에 경로 필터링 

    • PBR(정책기반라우팅) 설정

    • BGP 정책 설정 

 

 

설정 방법 

1. Route-map의 이름 및 실행 순서 정의 

  - Route-map의 이름이 같은 여러 정책들은 동일한 list로 인식 

  - Sequence number가 낮은 것부터 실행 

Ex)  

(config)# route-map SAME permit 10 
(config-route-map)# conditions 
(config-route-map)# exit 
(config)# route-map SAME permit 20 
(config-route-map)# conditions 
(config-route-map)# exit 

 

2. 필터링 할 주소의 정의 

  - 조건을 수행할 네트워크의 범위를 ACL 등으로 미리 지정 

Ex) 

(config)# access-list 10 permit 10.0.0.0 0.255.255.255 
(config-route-map)# match ip address 10 

 

3. 다양한 옵션 설정 

  - 원하는 옵션을 set 명령어를 사용하여 지정 

Ex) 

(config-route-map)# set metric 500         > 지정된 네트워크 주소들의 매트릭을 500으로 변경 
(config-route-map)# set next-hop 5.5.5.1  > 패킷 전달 방향을 원하는 next-hop으로 변경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프레임릴레이(Frame-relay)  (0) 2018.08.16
Frame-relay  (0) 2018.08.16
재분배 (Redistribution)  (0) 2016.07.01
OSPF LSA 정리  (2) 2015.10.02
[Config] NAT  (0) 2015.05.08

재분배란? 

 

서로 다른 AS간의 연결이나 다른 프로세스간의 경로 정보를 서로 전달받도록 설정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다른 프로세스로 경로 정보를 넘길 때에는 기존 경로 정책은 무시되고 단순히 네트워크 경로 정보만 전달하기 때문에 매트릭 등 여러 가지로 조정이 필요하다.  

 

 

재분배를 하는 방법은 각 라우팅 프로세스 설정 모드에서 redistribute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명령어와 함께 옵션을 사용하여 초기 매트릭이나 필터링 정책을 조정할 수 있다. 

 

초기 매트릭이란, 재분배 설정을 하는 프로토콜에서는 다른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던 매트릭 방식을 이해할 수 없으므로 관리자가 직접 경로에 대한 매트릭을 조정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초기 매트릭(Seed Metric)이라고 한다.  

 

 

 

<실습 예제>

재분배를 설정하기 전에 위 토폴로지대로 라우팅을 설정한다.  

여러 프로토콜의 정보를 모두 알고 있어야 재분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재분배 설정을 할 수 있는 장비는 R5 뿐이다. 따라서 라우팅 설정이 끝나면 R5의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여 전체 네트워크 경로 정보가 잘 학습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참고로 Static Routing으로 재분배를 하는 방법은 없다. 학습이 필요한 Static 경로가 있다면, 원래 설정하는 방법 그대로 경로를 추가시키면 된다. 위 실습에서는 Default Route(0.0.0.0/0) 으로 설정한다. 

 

 

 

RIP 프로토콜로 다른 프로세스 정보를 재분배 

  • router rip 명령어로 설정 모드 진입 

  • redistribute 명령어로 재분배 설정 

  • 초기 매트릭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값으로 기본 설정된다. 

  • 초기 매트릭은 임의로 가장 적절한 값을 부여하면 된다. 

 

1) 초기 매트릭을 default-metric으로 설정해 두는 경우 

router rip 
  default-metric 5 
  redistribute eigrp 1 
  redistribute ospf 1 
  redistribute static 

 

2) 초기 매트릭을 각 재분배 명령어에 옵션으로 추가하는 경우 

router rip 
  redistribute eigrp 1 metric 3 
  redistribute ospf 1 metric 5 
  redistribute static metric 2 

 

 

 

EIGRP 프로토콜로 다른 프로세스 정보를 재분배 

  • router eigrp <asn> 명령어로 설정 모드 진입 

  • redistribute 명령어로 재분배 설정 

  • 초기 매트릭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값으로 기본 설정된다. 

  • 초기 매트릭은 K상수 5가지를 모두 입력하며, 단위는 아래와 같다. 

    • Bandwidth = kbit 단위 

    • Delay = 10 microsecond 단위 

    • Reliability와 Load, MTU는 써 있는 그대로 적어 준다.  

    • 적는 순서는 BW > DLY > Reli > Load > MTU 

     

1) 초기 매트릭을 default-metric으로 설정해 두는 경우 

router eigrp 1 
  default-metric 1544 2000 255 1 1500 
  redistribute rip 1 
  redistribute ospf 1 
  redistribute static 

 

2) 초기 매트릭을 각 재분배 명령어에 옵션으로 추가하는 경우 

router eigrp 1 
  redistribute rip 1 metric 1544 2000 255 1 1500 
  redistribute ospf 1 metric 1544 2000 255 1 1500 
  redistribute static metric 1544 2000 255 1 1500 

 

 

 

OSPF 프로토콜로 다른 프로세스 정보를 재분배 

  • router ospf <PID> 명령어로 설정 모드 진입 

  • redistribute 명령어로 재분배 설정 

  • 초기 매트릭을 설정하지 않으면 20이 기본으로 설정된다. 

  • 매트릭 타입은 1,2 두 가지가 있으며, 기본은 Type 2(고정 매트릭)이다.  

  • Classless하게 설정된 서브넷은 재분배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subnet이라는 옵션을 필수적으로 적어 주어야 한다.  

 

1) 초기 매트릭매트릭 타입을 따로 조정하지 않는 경우 

router ospf 1 
  redistribute eigrp 1 subnets 
  redistribute rip subnets 
  redistribute static subnets 

 

2) 초기 매트릭을 30으로 조정하고 매트릭 타입을 Type 1으로 설정하는 경우 

router ospf 1 
  redistribute eigrp 1 metric 30 metric-type 1 subnets 
  redistribute rip metric 30 metric-type 1 subnets 
  redistribute static metric 30 metric-type 1 subnets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ame-relay  (0) 2018.08.16
경로 필터링 (Route Filtering)  (2) 2016.07.26
OSPF LSA 정리  (2) 2015.10.02
[Config] NAT  (0) 2015.05.08
[Config] Access-List  (0) 2015.05.08

여러분 안녕하세요.

새로운 뉴스가 있어서 블로그에 올려 공유하고자 합니다.

 

가장 먼저 취업을 위해 꼭 취득했어야 하는 CCNA라는 자격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별로 좋은 소식은 아니예요.. 시험이 바뀐다고 합니다....

기존의 시험은 200-120의 코드로 봤지만, 이 시험은 올해 8월 20일 이후로 종료되고

새로운 코드인 200-125로만 보실 수 있습니다.

 

 

 

시험의 내용은 얼마나 많이 바뀌는가도 궁금하시겠죠?

출제 범위의 큰 틀만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존 시험인 200-120>

링크 : https://learningnetwork.cisco.com/community/certifications/ccna/ccna_exam_v2/exam-topics

 

 

 

<새롭게 바뀌는 200-125>

링크 : https://learningnetwork.cisco.com/community/certifications/ccna/ccna-exam/exam-topics

 

 

 

범위가 더 적어졌네?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IP addressing 부분이 1번에 포함되어있을 뿐 줄어들지는 않았습니다.

퍼센트를 보면 오히려 더 늘어나있죠 ㅠ

전체적인 세부 항목은 그림과 함께 적혀진 링크를 통해 직접 들어가서 확인해보시고,

간단히 스위칭과 라우팅 부분에서 얼마나 바뀌는지만 잠깐 보도록 해요

 

 

LAN Switching 부분은 비율이 20%에서 21%로 늘어나있습니다.

기존의 시험에서는 VLAN의 장단점과 기본적인 설정, DTP, RSTP와 PVRSTP, 이더채널 정도가 나왔습니다.

새로워진 시험에는 VTP (v1&v2)와 Portfast, BPDU Guard가 추가되네요.

그리고 기존 시험은 설정과 확인에 대한 내용만 나왔는데, 새롭게 바뀐 시험에서는 거기에 각 항목마다 트러블슈팅이 추가되어 있네요. 단순한 설정만 할 줄 알고있는 상황이면 좀 어려울듯 싶습니다.

 

 

Routing 부분도 마찬가지로 20%에서 23%로 시험 출제 비율이 높아졌네요.

기존 시험에서는 Routing 방법과 프로토콜에 따른 차이점과 EIGRP/OSPF의 설정 및 확인 부분이 중점적이었는데,

바뀐 시험에서는 Static Routing의 다양한 설정 방식들에 대해 상세히 나올 예정이고, 멀티레이어 스위치를 사용한 SVI 설정과 Inter-VLAN 라우팅이 새롭게 추가되네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트러블슈팅에 대한 내용들이 각 항목마다 추가되어 있습니다.

 

 

예전에 시험볼때 처럼 그냥 설정을 할줄만 알면 되는 시대는 지난것 같네요... ㅎㅎ

정확히 이 프로토콜을 왜 사용하며, 어떻게 동작이 되는지를 잘 구분하셔야 모르는 문제를 만나도 잘 푸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존 시험은 8월 20일까지 진행이 된다고 하니, 시험을 보실 분들은 빠른 시일내에 준비하셔서 보시는 것이 좋겠네요.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으로 공개된 Cisco EIGRP  (2) 2017.07.20
CCNA/CCNP 응시료 인상  (3) 2017.0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