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Install'과 'Graphical Install'은 보여지는 화면의 차이일뿐 다르지 않습니다.
한글로 설치하면 글씨가 깨지지 않도록 한글팩을 따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간혹 제대로 실행되지 않고 에러나 나는 경우도 있어서 영어로 설치합니다.
시스템의 위치 및 시간 등은 칼리를 사용하는데 큰 영향이 없기에 그냥 기본 값으로 두고 넘어갑니다.
슈퍼유저인 root의 비밀번호는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굳이 복잡하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니 기억하기 쉬운 값으로 설정하세요.
필요에 따라 'apt-get'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치하기도 하니 'yes'를 선택해주세요.
HTTP 프록시는 따로 설정하지 않습니다. (빈칸으로 둠)
마지막 화면에서 boot loader의 위치를 지정해주지 않으면 부팅이 되지 않으니
반드시 /dev/sda 를 선택해주셔야 합니다.
'Network > Nerwork_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li 2018.1 - 환경 설정 (3) | 2018.03.19 |
---|---|
정보보안 / 네트워크 보안 (0) | 2015.11.23 |
IP 스푸핑을 위한 sTerm 프로그램 설정 방법 (2) | 2015.07.22 |
Spoofing Attack (ARP,ICMP,IP 스푸핑 공격) (0) | 2015.07.22 |
DAI (Dynamic ARP Inspection) (0) | 201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