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A Type

Type 알아야하는 내용

생성 Router

담고있는 내용

전달 범위

 


 


Type 1

생성 : 모든 라우터

내용 : 자신의 Link-State 정보

범위 : 해당 Area

 

Type 2

생성 : DR (DR 없는 네트워크에서는 X)

내용 : DR 연결된 Router 정보 (DR S.M neighbor목록)

범위 : 해당 Area

 

Type 3

생성 : ABR

내용 : 다른 Area 정보

범위 : 해당 Area

 

Type 4

생성 : ABR

내용 : ASBR 위치

범위 : 해당 Area

 

Type 5

생성 : ASBR

내용 : OSPF 외부 정보 (재분배 받은 정보)

범위 : 해당 AS

 

Type 7

생성 : ASBR

내용 : OSPF 외부 정보 (NSSA 축약)

범위 : 해당 AS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로 필터링 (Route Filtering)  (2) 2016.07.26
재분배 (Redistribution)  (0) 2016.07.01
[Config] NAT  (0) 2015.05.08
[Config] Access-List  (0) 2015.05.08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2) 2015.03.05

OSPF 설정하기


1. OSPF 설정 네트워크 광고


 Router(config)# router ospf process-id

 Router(config-router)# network 192.168.10.0  0.0.0.0  area 3

 

OSPF 뒤에 Process-id 붙이도록 하고 있다. 값은 하나의 라우터에서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려고 할때 이를 구분짓기 위한 번호로 사용된다EIGRP처럼 이웃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참고하는 값이 아니기 때문에 라우터간 다른 번호로 설정해도 무관하다.  


EIGRP는 옵션적으로 와일드카드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었는데, OSPF에서는 필수적으로 설정해야한다. 

※ 와일드카드 마스크에 대한 설명 보기 : http://bignet.tistory.com/51

 

 

2. Network Type 변경

 

 Router(config)# interface serial 1/0

 Router(config-if)# ip ospf network [ non-broadcast | broadcast | point-to-point | point-to-multipoint ]

 

라우터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미디어 타입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설정이 되지만 네트워크 타입마다 OSPF 동작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타입은 연결된 인터페이스에서 설정하고, show ip ospf interface XX 명령어로 확인할 있다.

 

 

3. Neighbor 수동 설정


 Router(config)# router ospf process-id

 Router(config-router)# neighbor ip-address

 

Non-broadcast 환경에서는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Hello 전달될 없어서 자동으로 이웃장비를 발견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동으로 Neighbor 설정을 해주어야 하고, 설정된 주소로 유니캐스트 통신한다.


neighbor 명령어 뒤에 오는 주소는 이웃장비의 실제 통신이 가능한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주소를 입력한다.

 

 

4. Router Priority 변경


 Router(config)# interface serial 1/0

 Router(config-if)# ip ospf priority [0 - 255]

 

DR/BDR 선출하는 네트워크 타입에서 priority 조정하여 DR 설정할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라우터의 priority 1 설정되어 있고, 0으로 변경하면 DR 없다.

 

 

5. Hello/Dead interval 변경


 Router(config)# interface serial 1/0

 Router(config-if)# ip ospf hello-interval [1 - 65535]

 Router(config-if)# ip ospf dead-interval [1 - 65535]


연결된 라우터간 Hello-interval 설정이 맞지 않으면 이웃관계를 맺을 수 없다. 따라서 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위와 같이 인터페이스 설정모드에서 변경해주면 된다. 일반적으로 Hello-interval만 설정하면 dead-interval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2) 2015.03.05
ACL (Access-List)  (0) 2015.03.03
OSPF Network type  (0) 2014.10.28
OSPF Packet과 LSDB 동기화  (2) 2014.10.28
EIGRP SIA 현상의 원인과 해결  (0) 2014.10.22
 

OSPF Network Types

 

Point-to-Point

: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라우터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타입.

  - Serial interface에서 PPP 또는 HDLC 사용하거나,   F/R에서 Point-to-Point Subinterface 사용

  - 네트워크 타입이 자동으로 설정

  - 1:1 연결된 구간이기 때문에 DR/BDR 선출을 하지 않는다

  - Broadcast 환경으로 Neighbor 자동으로 설정한다

  - Hello interval/Dead interval : 10/40

  - 멀티캐스트 주소 224.0.0.5 패킷을 전송한다.

 

 

Broadcast

: BMA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되는 타입

  - Ethernet interface에서 사용하거나,   F/R에서 Multipoint 사용

  - 네트워크 타입이 자동으로 설정

  - 1:n 으로 연결된 구간이기 때문에 DR/BDR 선출한다.

  - Broadcast 환경으로 Neighbor 자동으로 설정한다

  - Hello interval/Dead interval : 10/40

  - DR/BDR 멀티캐스트 주소 224.0.0.5으로, Dother 224.0.0.6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Non-Broadcast

: NBMA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되는 타입

  - Frame-relay, ATM 같은 환경에서 사용

  - 네트워크 타입이 자동으로 설정

  - 1:n 으로 연결된 구간이기 때문에 DR/BDR 선출한다.

  - Non-Broadcast 환경으로 Neighbor 수동으로 설정한다

* 설정: Router(config-router)# neighbor ip-address

  - Hello interval/Dead interval : 30/120

  - DR/BDR 멀티캐스트 주소 224.0.0.5으로, Dother 224.0.0.6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Point-to-Multipoint

: Point-to-Point를 여러 묶어놓은 듯한 네트워크 타입

  - 부분메시형 또는 Hub and Spoke 네트워크에서 사용

  - 네트워크 타입이 자동으로 설정되지 않아 수동으로 설정하는 타입

  - DR/BDR 선출을 하지 않는다

  - Neighbor 자동으로 설정

  - Hello interval/Dead interval : 30/120

  - 멀티캐스트 주소 224.0.0.5 패킷을 전송한다.

 

 

Point-to-Multipoint non-broadcast

: Point-to-Multipoint 동일하나 Non-Broadcast 환경인 타입

  - 부분메시형 또는 Hub and Spoke 네트워크에서 사용

  - 네트워크 타입이 자동으로 설정되지 않아 수동으로 설정하는 타입

  - DR/BDR 선출을 하지 않는다

  - Neighbor 수동으로 설정

  - Hello interval/Dead interval : 30/120

  - 멀티캐스트 주소 224.0.0.5 패킷을 전송한다.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L (Access-List)  (0) 2015.03.03
[Config] OSPF 라우팅 설정  (0) 2014.10.28
OSPF Packet과 LSDB 동기화  (2) 2014.10.28
EIGRP SIA 현상의 원인과 해결  (0) 2014.10.22
EIGRP DUAL 알고리즘 및 매트릭  (0) 2014.10.20
 

OSPF Packet 종류

 

Type

Packet Name

Description

1

Hello

Neighbor를 발견하고 인접관계를 형성

2

DBD (Database Description)

Database가 동기화 확인을 위한 DB간략정보

3

LSR (Link-State Request)

다른 Router로 링크상태 정보를 요청

4

LSU (Link-State Update)

요청 받은 특정 링크 상태 정보를 전송

5

LSAck (Link-State Acknowledgment)

다른 Packet Type에 대한 확인 응답

 

Hello Packet

- 이웃장비를 발견하고 인접관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이웃장비와의 연결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 Broadcast 환경에서는 Hello interval/Dead interval 10/40

  Non-Broadcast 환경에서 Hello interval/Dead interval 30/120

- 이웃장비간 인접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Hello 패킷 안에 들어있는 내용 중에서 반드시 매칭되어야 하는 내용

   Hello interval/Dead interval

   Area ID

   Authentication password

   Stub area flag

 

Update Packet

- Multicast Unicast 주소를 사용해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 4가지 종류의 업데이트 패킷을 가지고 있다. (DBD, LSR, LSU, LSAck)

 

 

 

 

 

LSDB 동기화 과정

 

 

 

Down State

어떠한 OSPF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여 이웃장비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

 

Init State

이웃 장비로부터 Hello 수신했지만, 수신한 Hello 패킷 안에 자신의 라우터 ID

Neigbor 정보로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

 

Two-way State

이웃 장비로부터 수신한 Hello 패킷 안에 자신의 라우터 ID Neigbor 정보로 들어가 있는 상태

 

 

 

Exstart State

다중접속 환경일 경우, DR/BDR 선출작업이 일어나는 상태

 

Exchange State

라우터가 가지고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서로 교환하는 상태

 

 

 

Loading State

간략한 데이터베이스를 받고 상세 네트워크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이를 요청하고 요청한 데이터베이스를 전달받는 상태

 

Full State

모든 데이터베이스 동기화가 완료된 상태

 

 

 

OSPF Neighbor 맺기

Full adjacency

: 이웃(Neighbor) 되고 Routing 정보도 주고 받는 상태이며, 이를 Adjacent neighbor 라고 한다

 

Adjacent Neighbor 되는 경우

  - DR DRother

  - BDR DRother

  - Point-to-Point 연결된 라우터

  - Virtual-link 연결된 라우터

 

 

 

DR BDR 선출

Multi-Access 환경에서는 LSA 광고패킷 플러딩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대장(DR) 라우터를 선출한다

  - DR (Designated Router)  : LSA 정보를 취합하는 대표 라우터로 다른 라우터간 통신을 중계한다.

  - BDR (Backup DR)  : DR 장애에 대비하여 설정하는 백업DR 라우터

 

DR 선출 방법

1. Priority 높은 것이 우선순위가 높다

기본값은 1 설정되어 있으며 관리자가 수동으로 변경할 있다.

0으로 지정하면 해당 라우터는 DR 없다.

Router(config-if)# ip ospf priority number

 

2. Router-ID 높은 것이 우선순위가 높다

<Router-ID 설정하는 >

- 수동 설정

- Loopback Interface 높은 IP address 설정

- Physical Interface 높은 IP address 설정

 

Hub and Spoke 구조에서는 Hub 역할을 하는 라우터가 반드시 DR 되도록 설정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통신이 되지 않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OSPF 라우팅 설정  (0) 2014.10.28
OSPF Network type  (0) 2014.10.28
EIGRP SIA 현상의 원인과 해결  (0) 2014.10.22
EIGRP DUAL 알고리즘 및 매트릭  (0) 2014.10.20
FLSM vs. VLSM Routing Protocl  (0) 2014.10.20

 

OSPF 개요

OSPF 표준 프로토콜로서 모든 벤더사의 제품에서 사용할 있는 Link-State Protocol이다.

Distance Vector처럼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는 것이 아니라 Link-State 정보(Link = Interface, State = Information) 교환하여 자신의 Data base 저장한다. 정보들 덕분에 Link-State 프로토콜은 전체적인 토폴로지를 이해할 있게 된다. 또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최적경로를 직접 계산하여 선택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라우팅 정보를 담아 OSPF 주고 받는 광고 패킷을 LSA라고 하며 네트워크의 변화가 생기면 즉시 다른 라우터에게 전달하여 알린다.

 

OSPF 구성이 계층적 구조로 구성이 되어 있고, Area라는 구간을 나누어 사용한다.

Area 나누면 서로 교환해야 되는 상태정보도 줄어들고 링크 계산 속도와 빈도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Routing Table 사이즈도 줄어들어 관리하기가 용이해진다.

ABR (Area Boundary Router)  : 이상의 Area 속하는 중개 라우터

ASBR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  : 외부영역과 연결되는 라우터

Backbone Router  : Backbone Area 속하는 라우터

Internal Router  : 하나의 영역에 속하는 라우터

 

장점

- 표준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장비간 호환성이 좋다

- 수렴시간이 빠르다

- 영역(Area) 나누어 관리하여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단점

- 계층적 구조를 반드시 따라야 하며, 설정이 어렵다

- SPF 알고리즘을 통해 직접 경로계산을 하기 때문에 리소스 소모량이 많다

 

 

 

OSPF Cost계산

OSPF 매트릭으로 Cost 사용하고, 값은 대역폭을 10 8승의 숫자로 나눈 값을 사용한다.

Bandwidth 클수록 비용이 낮아져야 하는데, OSPF에서 계산한 값의 소수점은 무조건 올림 처리하는 방식 때문에 대역폭이 100M 이던 1G이던 Cost 값이 같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대역폭의 값을 변경시켜 사용하기도 하며 아래의 표와같이 참조하여 사용되도록 Cost값을 미리 지정해두고 사용하기도 한다.

 

 

 

 

OSPF 설정

 

 

OSPF 뒤에 Process-id 붙이도록 하고 있다. 값은 하나의 라우터에서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려고 할때 이를 구분짓기 위한 번호로 사용된다.

, EIGRP처럼 같은 번호여야만 같은 라우팅 정보를 주고 받을 있는 ASN(AS Number)과는 다른 개념이다.

 

Wildcard-mask Subnet-mask 보수이며 필요한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할 사용된다.

Subnet-mask Net-id Host-id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Wildcard-mask 네트워크 범위를 뽑아낸다 라는 개념으로 사용 목적이 다르다.

 

 

'Network > Ro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 Static Routing 설정  (0) 2014.08.19
[Config] 기본 설정 명령어 상세설명  (2) 2014.06.21
[Config] 설정모드 및 명령어 정리  (0) 2014.05.28
[EIGRP] 간략정리  (0) 2014.05.28
[RIP] 간략정리  (0) 2014.05.28

+ Recent posts